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새 성장동력 찾기에 필요한 에너지혁신성장펀드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을 찾고 있다.
에너지혁신성장펀드는 종합에너지회사로 도약에 마중물 역할을 할 수도 있는데 탈원전에 따른 원전업계의 생존방안을 찾기에는 미진하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한수원은 에너지혁신성장펀드의 보완책을 30일 열리는 이사회 안건으로 올려 에너지혁신성장펀드의 증액과 투자처를 확대하는 방안 등을 검토한다.
한수원은 2018년 12월부터 2027년까지 에너지혁신성장펀드를 조성해 운영하고 있다.
이 펀드는 정부가 2018년 6월 ‘에너지전환(탈원전) 보완대책’을 발표하면서 원자력 보조기기·예비품 중소기업의 성장역량과 사업구조를 보완하기 위한 후속조치로 조성됐다.
펀드의 주된 투자 대상은 원전 설계, 건설, 운영, 정비, 수출 분야 협력 또는 관련 기업과 원전해체 설계·인허가, 제염, 해체·폐기물 처분, 부지복원 분야 관련 기업으로 설정됐다.
한수원은 5월 출자금 180억 원을 바탕으로 한 305억 원 규모의 1호 펀드를 조성했으나 이후 펀드 금액을 늘리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에너지혁신성장펀드가 지금껏 애초 목적대로 운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까지 나온다.
한무경 국민의힘 의원은 2020년 국회 국정감사에서 에너지혁신성장펀드가 조성된 금액의 50%만 펀드 조성의 주목적인 원전 관련 분야에 투자한다고 지적했다. 계획된 500억 원을 다 채우지 못했다고도 비판했다.
한 의원은 “정부가 탈원전정책으로 위기에 내몰린 원전업계를 돕겠다던 약속을 스스로 저버린 꼴”이며 “에너지혁신성장펀드의 애초 조성 목적대로 주목적 투자비율을 상향 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수원은 애초 에너지혁신성장펀드를 펀드 1호와 펀드 2호로 각각 나눠 투자자를 모집하기로 결정하고 지난해 8월 운용사 2곳을 선정했다.
펀드 1호는 투자자를 모았으나 펀드 2호는 금액을 채우는데 어려움을 겪으면서 올해 8월 운영사 선정을 취소했다.
이에 따라 정 사장은 펀드 목표금액인 500억 원을 달성하기 위해 에너지혁신성장펀드 1호에다 펀드 2호에 들어갈 한수원 출자금 120억 원을 추가로 출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한수원이 에너지혁신성장펀드의 투자자를 모으는 데 어려움을 겪은 것은 원전 관련 분야를 사양산업으로 바라보는 투자자들의 인식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수원은 에너지혁신성장펀드의 원전 관련 투자액을 처음에는 전체 펀드의 60%로 설정했다가 50%로 다시 낮췄다. 이는 한수원이 원전부품은 사양산업이라 투자처를 찾기 쉽지 않다는 외부 의견을 수용해 결정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한수원은 유망분야로 인식되는 원전해체 분야와 신재생에너지 분야로 투자대상을 늘릴 것으로 보인다.
세계적으로 설계수명을 다한 원전이 늘어나고 있는데다 신재생에너지분야는 정부에서 그린뉴딜정책에 따라 대규모 예산을 배정하며 관련 산업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한수원은 에너지혁신성장펀드의 절반을 신재생에너지분야에 투자할 준비를 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에너지혁신성장펀드의 조합원들의 동의를 받으면 신재생에너지분야를 펀드의 주된 투자 대상으로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수원 관계자는 “펀드의 주목적 분야는 원전 관련 중소 및 중견기업”이라며 “투자처는 운용사에서 결정하는 사항이다”고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였다.
정 사장은 에너지혁신성장펀드 외에도 새 먹거리로 꼽는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에 활용하기 위해 방사선 관련 디지털헬스펀드를 조성하는 방안도 함께 구상하고 있다.
정 사장은 종합에너지회사로의 도약을 위해 현재 LGCNS와 손잡고 국내외 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정 사장은 29일 페이스북을 통해 “다음 세대에 에너지부문과 함께 가장 각광을 받을 분야가 무엇이고 그 중에서 한수원과 보유자산의 연관성이 큰 부문은 무엇인지 고민에 고민을 더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