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다시 '사회적 거리두기'로 돌아가면 등교수업의 차질을 빚을 수 있고 생업에도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하고 수도권에 집중된 연쇄감염의 고리도 차단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5월29일 시작된 '수도권 방역관리 강화방안 조치'를 14일까지 시행할 예정이었으나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한 자릿수로 줄 때까지 유지하기로 했다.
수도권 방역관리 강화방안은 박물관 등 공공시설 8천여곳의 운영 중단, 유흥주점 등 다중이용시설 운영자제 권고 등이다.
정부는 QR코드를 활용한 전자출입명부 도입을 기존 고위험시설에만 의무화했는데 수도권에 위치한 학원과 PC방에도 의무화하기로 했다.
또 고위험시설을 기존 8곳(헌팅포차, 감성주점, 유흥주점, 단란주점, 콜라텍, 노래연습장, 실내집단운동시설, 실내 스탠딩 공연장)에서 함바식당(건설현장 식당), 포교시설, 인력사무소 등도 추가해 방역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방역 사각지대에 놓인 취약시설을 집중점검한다.
고시원, 쪽방촌 등 방역 사각지대에 놓인 곳들을 중심으로 증상 여부와 상관없이 선제적 선별검사를 실시한다. 필요하면 유증상자를 대상으로 한시적으로 무료검사를 진행하는 것도 검토하기로 했다.
이 밖에 수도권의 병상 수 부족 가능성에 대비해 ‘수도권 공동 병상대응체계’ 계획을 마련한다.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시설 2곳 외에 국가 지정 공동 생활치료센터를 경기 안산 중소벤처기업연수원과 경기 광주 고용노동연수원에 2곳을 신설하기로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정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