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재활용 폐기물 대란을 막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배달서비스 이용이 크게 늘면서 플라스틱과 같은 재활용 폐기물이 급증했지만 경기침체로 폐기물을 활용한 재생원료의 수요가 줄면서 재활용업체의 보관능력이 한계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 조명래 환경부 장관(가운데)이 5월7일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페트(PET) 재활용업체를 방문했다. <환경부> |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재활용업체가 수거를 거부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
2일 환경부는 재활용업체들의 저장공간이 부족해짐에 따라 재활용 폐기물의 2차 공공비축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공비축은 환경부가 한국순환자원유통지원센터를 통해 시중가격의 50%로 폐기물을 매입해 유휴부지, 민간임대지 등에 보관한 뒤 2개월 뒤 업체에 매입한 가격으로 재판매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1차 비축은 1만 톤 규모로 5월7일 시작됐는데 이를 통해 재활용업체는 재고량이 줄어들고 자금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환경부는 특히 재활용 폐기물 가운데 최근 들어 발생량이 급증한 폐플라스틱 처리에 힘을 쏟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원료로 대체가능한 수입산 폐플라스틱의 수입을 금지하는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 폐플라스틱은 신재생원료로 사용되고 있는데 수출이 크게 감소했기 때문에 대체재 관계에 있는 수입산을 금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공공비축과 함께 근본적 해결을 위해 다양한 후속대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신규수요처 발굴을 위해 수출 판로 개척을 지원하고 국내 원료로 대체 가능한 수입산 폐플라스틱의 수입을 금지하기 위한 고시 제정안 행정예고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폐플라스틱의 국내 수요를 늘리기 위해 국내업계와 업무협약을 맺기도 했다.
환경부는 20일 한국플라스틱포장용기협회, 한국페트병재활용협회,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과 업무협약을 맺어 앞으로 플라스틱 포장용기를 생산할 때 국내 재생원료의 사용을 확대하기로 했다.
플라스틱 포장용기를 생산하는 업체 81곳으로 구성된 플라스틱포장용기협회는 월 2천 톤 규모의 페트 재생원료를 활용해 플라스틱 포장용기를 생산하기로 했다.
재생원료를 공급하는 페트병 재활용업체 24곳으로 구성된 한국페트병재활용협회는 국내 재생연로 사용을 늘리기로 했고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도 포장재 등에 페트 재생원료 사용이 확대될 수 있도록 힘을 쏟기로 했다.
이 밖에 환경부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과 재활용 수거업체가 맺는 계약에 재활용품 가격 하락을 반영할 수 있는 가격연동제를 시행하도록 했고 재활용업계의 유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재활용산업 육성융자자금 1634억 원도 조기에 집행했다.
환경부가 이처럼 재활용 폐기물 처리 문제에 힘을 쏟고 있는 것은 제때 대응하지 않으면 재활용업체들이 보관공간 부족으로 폐기물을 수거하지 못하게 되면서 '폐기물 대란'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재활용업체들의 도산도 이어질 수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폐기물 재활용업체 재고량은 약 1만3천 톤으로 전체 보관량(1만8천 톤)의 80%에 이른다.
하지만 재활용 폐기물을 활용한 재생원료 판매량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크게 줄었다. 재활용업체의 페트 재생원료 판매량은 1~3월 월 평균 1만6855톤에서 4월 기준 9116톤으로 46%까지 감소했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이런 상황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재활용업계 전체 환경을 지속해서 관리하겠다는 뜻을 보이기도 했다.
조 장관은 7일 YTN과 인터뷰에서 “단순하게 공공비축으로 문제가 해결되는 건 아니고 사이클 전체를 관리해야 한다”며 “배출, 수거, 분리, 재활용 등 전제적으로 관리하는 데 용처, 수요처를 발굴하는 것도 동시에 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정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