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포스코에 따르면 남북 경제협력사업 논의가 본격화하면 언제든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태세를 갖추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북사업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고 있다. 대북사업 태스크포스는 2018년 8월 최 회장의 적극적 의지로 꾸려져 대북사업 구상 등 임무를 맡았다.
포스코는 2019년 2월 미국과 북한의 하노이 정상회담 이후 남북경협사업 논의가 탄력을 잃은 동안에도 이 기구를 해체하지 않고 그대로 두면서 정세 변화 등을 지켜봐 왔다.
포스코 관계자는 “태스크포스는 그동안 남북경협 관련 이슈가 없어 모니터링만 해왔지만 프로젝트가 본격화하면 전략 수립 등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움직일 것”이라고 말했다.
포스코그룹은 계열사 전반적으로 남북의 경제협력으로 수혜를 볼 대표적 기업으로 꼽힌다.
북한의 인프라 구축 사업 등에 속도가 나면 철강 수요가 증가할 뿐 아니라 북한에 매장된 천연 광물자원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 회장이 포스코, 포스코건설, 포스코켐텍 등 그룹 계열사 전반이 대북사업에서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자신했던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최 회장은 취임 직후인 2018년 7월 말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남북관계가 좋아지면 포스코그룹이 경제협력사업에 가장 큰 수혜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특히 포스코에 필요한 철광석, 포스코케미칼이 중국으로부터 비싸게 수입하고 있는 마그네사이트, 미래 성장동력인 2차전지 소재사업에 쓰이는 원료인 천연흑연 등이 북한에 대량 묻혀있다는 점에 기대를 건다.
대북관계는 정세의 영향을 많이 받는 만큼 민영기업인 포스코에서 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 때문에 최 회장은 동해북부선 철도 건설사업을 시작으로 남북 경제협력사업 논의가 본격화할 것이라는 데 기대가 클 것으로 보인다.
21대 총선에서 민주당이 압승을 거두면서 정부가 남북 경제협력사업 재개에 본격적으로 힘을 실을 수 있게 됐다는 말이 업계에서 나온다.
정부는 동해북부선 강릉-제진 철도건설사업에서 예비타당성조사를 생략하는 등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문재인 대통령은 4월27일 판문점선언 2주년을 맞아 남북 보건 협력사업, 남북철도 연결, 비무장지대의 국제평화지대 전환 등 남북 협력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다만 남북 경제협렵사업이 추진력을 얻으려면 정치적 안정, 북미관계 회복 등 여러 요소들이 함께 해결돼야 하는 만큼 최 회장의 기대가 당분간 현실화할 가능성이 낮다고 보는 시선도 있다.
최 회장은 2018년 7월 포스코그룹 회장 자리에 오를 때부터 대북사업에 적극적 의지를 보였다.
그는 취임사에서 “대북사업은 단기적으로 자원의 사용과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장기적으로는 인프라 구축, 북한의 철강산업 재건에도 적극적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특별수행원 자격으로 2018년 9월 평양에서 열린 남북 정상회담 일정에 동행한 뒤 ‘남한과 북한의 경제협력은 큰 기회’라며 확신을 굳혔다.
최 회장은 북한을 방문하기 전 “(북한 산업이) 우리가 아는 것과 차이가 있는지 잘 비교해보겠다”고 했는데 돌아온 뒤 “남한과 북한, 미국의 관계를 면밀히 살피면서 좋은 기회가 오면 구체화할 수 있도록 잘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