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미국 금리인상 시기상조론에 힘이 실리고 있다.
연방준비제도는 9월 16~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를 열어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한다.
|
|
|
▲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사회 의장. |
미국의 금리인상 여부를 결정할 시기가 임박해지면서 각계각층에서 미국이 금리인상 시기를 늦춰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카우식 바수 세계은행 수석 경제연구원은 9일 파이낸셜 타임즈와 인터뷰에서 “중국 경기둔화 우려가 커진 지금 금리인상을 단행한다면 세계 경제에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의 금리인상이 단행될 경우 신흥시장이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바수 연구원은 “금리인상이 오래전부터 예고됐고 시장에서도 금리인상 가능성을 충분히 인식하고는 있다”며 “하지만 막상 금리인상이 단행되면 신흥시장 통화가치 급락은 물론이고 신흥시장에서 자본이 이탈이 심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제통화기금(IMF)도 미국 금리인상이 몰고 올 파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미국이 금리인상 시기를 늦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6일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를 마친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물가와 고용률, 실업률 등 모든 수치가 완벽하게 확인된 이후에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며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 인상을 서둘러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경제 전문가들 역시 금리인상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내고 있다.
조지프 스티글리츠 컬럼비아대 교수는 “지금 금리를 인상하면 미국 내 불평등을 악화시키고 전반적인 경제활동을 위축시킬 것”이라며 “지금은 연준이 금리인상을 유보하는 아주 쉬운 결정을 해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그는 2001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으며 1997년부터 2000년까지 세계은행 부총재를 지낸 인물이다.
스티글리츠 교수는 불안정한 미국의 고용 현실과 실질임금 감소를 금리인상 반대 이유로 꼽았다.
스티글리츠 교수는 “미국의 8월 실업률은 5.1%로 발표됐지만 파트타임(시간제) 노동자와 일용직, 임시직 등을 제외하면 미국의 실업률은 10.3%로 올라간다”며 “올해 들어 미국 일반 근로자의 실질 임금은 0.5% 줄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미국의 물가상황도 금리인상 시기에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스티글리츠 교수는 “미국의 물가상승률은 연준의 목표인 연 2%에 훨씬 못 미치고 있다”며 “물가가 오른다고 하더라도 연방준비제도가 통제할 수 있는 수준일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의 귀재로 알려진 워런 버핏 버크셔헤서웨이 회장도 9일 CNBC와 인터뷰에서 “유럽은 금리를 낮게 유지하는데 미국만 금리를 인상하면 경제 성장률이 떨어지는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백설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