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일본 수출규제에 대응한 소재·부품·장비 국산화의 실현 가능성을 높게 바라봤다.
최기영 후보자는 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 가능성이 많이 있다”며 “연구가 순조롭게 진행돼 생산으로 연결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소재·부품·장비 분야가) 일본과 비교해서 2~3년 뒤쳐진 것으로 듣고 있다”며 “일부는 기술 격차가 작아 조금만 투자하면 상용화 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일본 수출규제와 맞물려 전문연구요원 제도의 확대 필요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최 후보자는 “일본의 수출규제를 봐도 현재 전문연구요원 제도는 중요한 이슈”라며 “전문연구요원제도를 확대한다면 몰라도 줄이는 것에는 반대한다”고 말했다.
전문연구요원 제도는 자연계 석사학위를 받은 사람이 연구기관에서 연구개발(R&D) 업무에 종사하며 군 복무를 대체하는 제도로 1973년에 도입됐다.
인공지능(AI) 분야와 관련한 인력 양성을 두고 거시적 관점에서 대처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최 후보자는 박선숙 바른미래당 의원이 인공지능과 관련된 기초연구를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자 동의하는 모습을 보였다.
최 후보자는 “수학과 뇌과학이 없으면 인공지능 분야에서 획기적 성과가 나올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미래사회에서는 인공지능이 중요한데 우리의 미래는 밝지 않다”며 “중국이나 미국처럼 앞서가는 국가를 보면서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의 소프트웨어(SW) 교육과 연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탈원전정책과 관련해 원자력발전 연구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에너지전환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최 후보자는 “원전 기술은 중요하고 기술개발과 연구는 꾸준히 이어져야 하지만 한번 사고가 나면 큰 피해를 주기 때문에 이를 감안해 에너지 전환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