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에너지신산업, 서비스 등 혁신성장산업 분야의 수출 초기기업에는 개별기업당 이보다 10억 원 많은 40억 원(개별거래한도 20억 원 이내)까지 지원한다.
이번 지원방안은 정부가 3월 수출활력 제고대책을 통해 수출계약 이후 제작에 필요한 자금조달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한 데 따른 후속조치다.
현재 중소기업진흥공단이 정부예산 1800억 원을 배정받아 수출 초기기업에 신시장진출지원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한국무역보험공사는 일시적으로 신용도가 악화된 수출 중소기업에 수출계약 기반 특별보증을 5천억 원으로 확대했다.
여기에 수출입은행도 동참하면서 중소기업을 향한 정부의 지원이 더욱 촘촘하게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수출입은행은 또 직전연도 수출실적이 300만 달러 이하인 수출 초기단계 신규 고객기업이 ‘수출거래 안정성’과 ‘수출이행능력’ 평가를 통해 요건에 부합하다고 판단되면 신용평가를 생략하고 수출계약서만으로 금융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수출 초기기업에 대한 지원규모는 모두 200억 원이다. 중소기업에 대한 수출입은행의 일반적 대출기간이 보통 6개월 이내인 점을 감안하면 연간 400억 원의 지원효과가 기대된다.
수출입은행은 추가 수요가 발생하면 수지상황 등을 고려해 수출 초기기업에 금융지원을 모두 500억 원(연 2회전시 1천억 원 지원 효과)까지 추가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은성수 수출입은행장은 “정책금융기관인 수출입은행은 고객기업의 어려움을 앞서서 고민하고 해법을 제시하는 금융 동반자가 돼야 한다”며 “낮은 신용도로 재원조달에 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수출 초기기업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기 위해 이번 지원제도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