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산업이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 중심의 시대로 빠르게 전환함에 따라 관련 산업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됐다.
문재인 정부가 에너지 전환정책에 속도를 내 관련 산업 육성에 힘을 실어줄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 현대자동차 전기차 '코나EV(일렉트릭)'. |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3일 “전기차 시대는 피할 수 없는 흐름이 됐기 때문에 전기차산업을 육성해 관련 신규 사업들을 조기에 정착시키는 역발상이 필요하다”며 “전기차 시대로의 대응이 늦으면 경쟁력 도태로 향후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전기차 시장이 막 열리기 시작했던 2010년 초반만 해도 많은 국가와 기업들은 전기차 확대에 주춤했다. 내연기관차 중심의 기존 질서를 재편하는 데 따르는 부담이 컸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국 캘리포니아주가 전기차 의무판매제도를 도입하며 완성차기업의 체질 개선을 주도하면서 전기차 시대에 대비하는 각국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중국도 캘리포니아식 전기차 의무판매제도를 도입해 2019년부터 실행하기로 했으며 유럽의 많은 국가들도 내연기관차 판매를 원천적으로 금지하는 정책 시행을 검토하고 있다.
일본 정부도 2050년부터 완성차기업이 내연기관차를 판매할 수 없도록 하겠다고 올해 발표했다.
각국 정부의 정책적 뒷받침뿐 아니라 전기차에 탑재되는 배터리 가격이 낮아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글로벌 전기차시장은 2025년까지 연평균 33%씩 고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정부도 전기차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는 정책을 펴 관련 산업에서 기업들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저야 하는 것으로 지적됐다.
한 연구원은 “전력의 녹색화가 늦은 국가에서 전기차산업이 발전할 수 없다”며 “문재인 정부가 우선순위에 둔 에너지 전환정책은 지금 대한민국 산업에 반드시 필요한 정책”이라고 말했다.
현대기아차는 해외 완성차기업과 비교해 전기차 개발속도에서 다소 뒤처진 것으로 평가받는다. 국내 신차시장이 연간 150만 대라는 점을 감안할 때 정부가 정책적으로 전기차산업을 뒷받침한다면 현대기아차가 내수시장을 발판 삼아 전기차 경쟁력을 지닐 수도 있다.
한 연구원은 “현재 보조금 지급 등 단기 육성책 수준에 머물고 있는 정책을 의무판매제도나 내연기관차 판매금지 로드맵 수립 등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