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정 기자 hyunjung@businesspost.co.kr2018-06-19 19:18:23
확대축소
공유하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내 은행이 기업대출보다 가계대출을 중심으로 성장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금리 기조에서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로 주택담보대출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은행이 가계대출을 늘린 것으로 분석됐다.
▲ 금감원이 19일 발표한 ‘금융위기 이후 국내은행의 자산운용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 이후 국내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은 연평균 6.2%로 기업대출 증가율 5.4%를 상회했다.
금감원이 19일 발표한 ‘금융위기 이후 국내은행의 자산운용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 이후 국내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은 연평균 6.2%로 기업대출 증가율 5.4%를 웃돌았다.
기업대출 비중은 2013년 말 56.3%에서 지속적으로 하락해 지난해 말 54.2%까지 낮아졌다. 가계대출은 같은 기간 41.2%에서 43.8%로 비중이 높아졌다.
금감원은 "그동안 저금리 기조 속에서 부동산 규제가 완화되면서 주택담보대출 수요가 촉진됐다"며 "가계대출의 위험조정수익률이 기업대출보다 높아 은행이 가계대출을 선호한 것도 가계대출이 늘어나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위험조정수익률은 이자수익률에서 대손률을 뺀 것을 뜻한다. 기업대출은 구조조정 등의 영향으로 대손률이 높다.
은행이 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BIS비율)을 관리할 때에도 위험가중치가 낮은 가계대출이 유리한 것으로 파악됐다. BIS비율을 산정할 때의 평균 위험가중치(지난해 9월 말 기준)는 가계대출이 25.6%, 기업대출이 66.3%였다.
개인사업자대출도 2013년 이후로 꾸준히 증가했는데 특히 부동산임대업 편중 현상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사업자대출 가운데 부동산임대업 비중은 2013년 30.2%에서 2017년 39.2%로 늘었다.
저금리 기조에 더해 은퇴자 노후대비책으로 부동산임대업이 떠오르면서 부동산임대업 대출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은행이 담보 위주의 대출자산 확대전략을 취한 점도 부동산임대업 대출 증가에 힘을 실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 밖에 금감원은 금융위기 이후 담보와 보증 위주의 보수적 여신관행이 은행권에서 심화됐다고 평가했다.
대손비용이 늘어나면서 수익성이 악화된 데다 엄격해진 자본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은행들이 리스크관리를 강화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가계대출금 비중을 살펴보면 주택담보대출이 70.2%(464조 원), 기타 신용대출이 29.8%(197조 원)로 나타났다. 주택담보대출의 비중은 2008년 말 60.7%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말까지 크게 늘어났다. 반면 기타 신용대출 비중은 2008년 말 39.3%에서 2016년 말 28.4%로 줄었다.
금감원은 “은행이 소비자 수요가 많고 수익성이 좋은 가계대출을 선호하기 때문에 시장이 자율적으로 교정되기 어렵다”며 “하지만 생산적 금융의 확대를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제도적 장치를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