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건설이 부동산시장의 규제정책에 따라 주택경기가 둔화하면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상됐다.
김미희 한국기업평가 책임연구원은 27일 ‘주택경기 하강국면 진입에 따른 영향 및 건설업체별 대응능력 분석’이라는 보고서에서 “주택경기가 하강국면에 진입하면 건설사들의 수익성이 하락할 것”이라며 “신규 수주와 매출 등 외형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건설사들의 운전자본 부담도 가중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내 건설사들은 올해 모두 42만 세대를 분양하겠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이는 2015년 분양물량인 43만 세대에 근접하는 수치다.
하지만 정부가 2017년에 내놓은 각종 금융규제가 시행되는 데다 금리 인상과 입주물량 확대 등의 변수가 많아 분양시장 전망이 어두워 실제 분양물량은 계획물량을 밑돌 것으로 전망된다.
주택사업에 집중된 사업구조를 지닌 건설사들이 부동산대책의 직접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신용평가등급 BBB 이하를 받는 건설사들의 부담이 더욱 클 것으로 김 연구원은 봤다.
김 연구원이 부동산대책의 영향에 따른 건설사들의 대응능력을 살펴본 결과 두산건설의 위험 수준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국내 건설사들은 전체 매출에서 50%가량을 건축부문에서 내고 있는데 두산건설 건축부문의 매출비중은 60%에 육박해 주택사업 둔화의 영향을 더욱 크게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두산건설이 지방에서 많은 사업을 하고 있다는 점도 부동산대책에 대한 대응능력이 미흡하다고 보는 이유로 꼽혔다.
두산건설은 건축사업의 절반가량을 지방에서 진행하고 있다. 주택경기 하락현상은 수도권보다 지방에서 먼저 일어날 가능성이 커 두산건설에 부정적 영향을 줄 공산이 크다.
입주물량이 많아 미분양 위험도가 높은 지역에 아파트 분양물량이 많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김 연구원은 울산시와 경상도, 충청도, 경기도 화성시, 평택시, 오산시, 안성시 등을 입주물량 위험지역으로 꼽았는데 두산건설은 이 지역에서 5천 가구가 넘는 아파트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김 연구원은 “두산건설의 부채비율은 200% 밑으로 재무 안정성이 양호하다고 볼 수 있지만 위험지역의 입주물량 집중도가 가장 높아 유동성 변화 등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