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바이오·제약

스마트폰 이용한 모바일 쇼핑 오전 11시대에 집중

백설희 기자 ssul20@businesspost.co.kr 2014-12-16 17:06:05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스마트폰 이용한 모바일 쇼핑 오전 11시대에 집중  
▲ 스마트폰으로 정보를 검색하는 사람들

우리나라 사람들이 하루 평균 3시간 넘게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도입 초창기인 2012년에 비해 사용시간이 2.4배나 증가했다.

KT경제경영연구소가 16일 닐슨코리안클릭 자료를 분석해 내놓은 '스마트폰 도입 5년, 모바일 라이프 변화' 보고서를 보면 올해 9월 기준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의 하루 평균 스마트폰 이용시간(음성통화 제외)은 3시간39분(219분)이었다.

스마트폰 도입 초창기인 2012년 3월 기준으로 스마트폰 이용시간이 1시간31분(91분)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약 2년6개월 만에 2.4배나 증가했다.

연령대별로 20대가 하루 평균 4시간41분(281분)으로 가장 길었고, 10대 이하 3시간59분(239분), 30대 3시간40분(220분), 40대 3시간9분(189분), 50대 2시간31분(151분) 순이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스마트폰 이용시간 가운데 85%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 각종 애플리케이션 이용에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나머지 15%는 모바일 웹서핑 등에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대별 콘텐츠 이용률을 살펴보면 카카오톡 등 커뮤니케이션 앱의 시간당 이용률이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까지 꾸준히 50%가 넘는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게임 콘텐츠는 점심시간대와 오후 7∼10시에 이용률이 높게 나왔고 모바일쇼핑은 점심식사 직전인 오전 11시대에 집중됐다. 음악·영상 콘텐츠의 경우 출·퇴근시간대 이용률이 높았다.

스마트폰 이용시간이 늘면서 스마트폰을 휴대하는 방법도 변했다.

한시라도 스마트폰을 손에 놓지 않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언제든 스마트폰을 꺼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손닿기 쉬운 곳에 휴대하려는 경향이 생겨났다.

스마트폰이 보급되기 전인 2008년과 2013년 길을 걸을 때 휴대전화 휴대방식을 비교해 보면, 상의 주머니에 넣는 이용자가 30%에서 39%로 늘었으며 손에 들고 다니는 이용자도 17%에서 25%로 증가했다.

반면 가방이나 핸드백에 보관하는 사람은 26%에서 15%로 줄었다.

보고서는 “스마트폰 도입으로 우리 생활이 전반적으로 편리해졌으나 명상·휴식을 하거나 책·잡지·신문 등을 읽는 시간은 크게 줄었다”며 “스마트폰의 사용이 우리나라 사람들의 생활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고 분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백설희 기자]
 

최신기사

SK쉴더스 상반기 실적 부진에 노조 갈등 '이중고', 민기식 경영안정 시험대 올라
폭우에 와이퍼 멈추고 내부로 빗물 뚝뚝, 볼보코리아 품질·서비스 불만에 판매 급감
넥스트레이드 거래 제한 현실화, 김학수 '한국거래소 개장시간 확대' 기다릴 뿐
미국 'AI 데이터센터발 전력난' 이미 현실화, 빅테크 대책 마련 다급해져
E1 'LNG 사업' 확장 박차, 구자용 종합 에너지기업 도약 발판 마련한다
이재명 '전기료 인상' 시사에 반도체·디스플레이 화들짝, 전력 직접구매·자체 발전 늘린다
플랜1.5 "대통령이 지시한 기후대응, 배출권 100% 유상할당해야 달성가능"
현대엔지니어링 수익성 회복에도 불안, 주우정 추가 비용 불확실성 '촉각'
국토부 김윤덕 "늦어도 9월 초 주택공급책 발표, 3기 신도시 속도감 중요"
유엔글로벌콤팩트 ESG 간담회, "지속가능 경영은 기업 성공에 필수적"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