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 부회장은 2일 신년사를 통해 “우리의 선행가치인 안전의 개념을 구체화 하는데 역량을 집중해 왔다”고 밝혔다.
그는 또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겠다는 목표 아래 출시한 내진용강재 전문 브랜드 ‘H CORE’를 통해 포항 지진에 따른 국민적 불안감을 해소하고 나아가 이를 안전에 대한 관심으로 전환시키는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우 부회장이 회사의 안전 의식을 강조하면서 노동자의 안전을 놓고는 언급을 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현대제철의 안전 문제는 비정규직 차별 문제와도 맞물려있다.
금속노조에 따르면 2007년부터 2016년까지 현대제철 당진공장에서 산재사고로 목숨을 잃은 노동자는 모두 31명이었는데 이 가운데 시공회사나 하청회사 소속 비정규직 노동자가 25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2017년 1월 인천공장과 12월 당진공장에서 산재로 사망한 노동자도 현대제철 비정규직이었다.
현대제철 비정규직노조의 상위 노조인 금속노조는 지난해 12월27일 보도자료를 내고 “(현대제철 비정규직 노조는) 사고와 죽음이 끊이지 않고 24시간 돌아가는 제철소에서 비정규직에게 차별적으로 적용하던 3조3교대를 4조3교대로 온전히 전화할 것을 올해 주요 요구사항으로 내걸고 투쟁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우 부회장은 15일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철강업계 신년인사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산재 방지를 위해 많은 투자를 해왔지만 최근 여러 사고가 발생했다”며 “향후 영구 무사고 사업장을 목표로 많은 투자를 하겠다”고 말했다.
현대제철은 2013년 당진공장 제3고로를 짓는 과정에서 10명의 산재 사망자가 발생하자 같은 해 12월에 1200억 원을 투자하고 전담인력 50여 명을 확보하는 내용의 대책을 내놓기도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