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이 노동조합으로부터 임금반납 동의를 빨리 이끌어내지 못하면서 점점 초조한 상황으로 몰리고 있다.
정 사장은 사채권자들로부터 채무재조정안을 승인받아야 하는데 노조의 고통분담 여부가 설득의 성패를 가를 수 있다.
|
|
|
▲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 |
4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이 현재까지 노조로부터 임금반납과 관련해 어떠한 답변도 받지 못하고 있다.
노조는 임금반납 여부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으나 조합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며 2주가 다 되도록 아직 명확한 입장을 내놓고 있지 않다.
노조 관계자는 “지난 주부터 간담회 등을 통해 조합원들의 의견을 듣고 있다”며 “노조 내부에서도 의견이 갈리고 있어 공식입장을 아직 결정하지 못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조합원들은 회사를 먼저 살려야 한다는 데 대체로 동의하지만 임금의 10%를 반납하는 데 동의하기 쉽지 않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일부 생산직 직원들은 지난해 각종 수당을 받지 못해 실질적으로 임금의 20%가량이 줄었는데 올해 또 10%를 반납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자 불만을 숨기지 못하고 있다.
일부 조합원들은 “회사의 입장에도 충분히 일리가 있지만 나중에 회사가 살아날 경우 임금반납에 동의해준 것과 관련한 보상이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며 회사가 다른 대안을 마련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이 최근 발표한 사업보고서를 놓고 보면 대우조선해양 직원 1명이 지난해 받은 보수는 평균 6천만 원이다. 이는 2015년 보수보다 1500만 원(20%) 적은 것이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직원들의 평균 연봉이 지난해 각각 14.1%, 4.2% 줄어든 것보다 임금하락 속도가 빠르다.
다른 조합원들은 “현재 대우조선해양이 경영난에 처한 것은 정부와 채권단, 과거·현직 경영진에게 그 책임이 있다”며 “향후 채권단과 경영진이 말바꾸기를 할 수 없도록 제도적 장치를 먼저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노조는 사채권자 집회가 열리는 17~18일 전까지 임금반납에 동의할지 여부를 정하기로 했다.
정성립 사장으로서는 노조가 아직 임금반납 여부를 결정하지 못한 상황에 무척 난처할 것으로 보인다. 노조의 고통분담이 정해지지 않으면 사채권자들에게 회사채의 만기 연장과 출자전환 등에 협조해 달라고 설득하는 데 명분이 약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등 대우조선해양 채권단은 3월 말에 임직원들이 임금반납 등 강도 높은 자구계획안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보여야 채무재조정에 동의할 수 있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정 사장은 대우조선해양 회생의 열쇠를 쥐고 있는 사채권자들을 설득하기 위해 지난주 사내방송에서 “임직원들에게 고통분담을 간청하기에 앞서 저부터 급여 전액을 반납하도록 하겠다”고 밝혔지만 노조로부터 답변을 받기까지는 여전히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대우조선해양은 이번주 안으로 노조를 설득해 무쟁의 확약서와 임금반납 동의안을 받겠다는 계획을 세워뒀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