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배치 리스크가 커지면서 롯데그룹의 중국사업이 타격을 받을 가능성도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롯데그룹에서 중국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하지만 마땅히 방안이 없다.
8일 재계에 따르면 롯데그룹이 현재 중국에 짓고 있는 선양 롯데월드 공사가 지난해 말 중국정부의 조치로 중단됐다. 선양 롯데월드 공사는 롯데그룹이 중국에서 추진하는 ‘롯데타운’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
|
|
▲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
롯데그룹은 2008년부터 선양에 있는 16만㎡ 부지에 3조 원을 투자해 대형 쇼핑몰과 테마파크, 호텔 등 롯데타운을 짓는 프로젝트를 추진해왔다. 2014년 1단계 공사를 마무리한 뒤 백화점과 영화관을 개관했고 테마파크와 아파트 등은 2018년 완공을 목표로 공사를 진행 중이었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지난해 말 위생점검과 세무조사 등 중국 당국의 움직임이 있었을 때 롯데월드 소방문제에 대한 지적이 있어 현재 공사가 중단된 상태”라며 “12월부터 3월까지 기온이 영하 30~40도까지 내려가 소방문제 지적 당시에도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 상태는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중국 당국에서 지적한 사안들을 개선하면 공사는 재개될 것으로 본다”며 “완공에 차질은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업계는 중국정부의 이번 조치가 롯데그룹의 사드부지 제공에 대한 경고성 움직임이라고 보고 있다.
롯데그룹은 지난해 11월 성주골프장을 사드부지로 제공하는 대신 경기도 남양주 군부대 부지를 넘겨받기로 했다.
중국정부는 롯데그룹이 사드부지를 제공하기로 결정한 뒤 롯데그룹 계열사 현지법인을 대상으로 세무조사를 진행하고 백화점과 마트 등 중국 현지점포을 놓고 불시 소방점검과 위생점검을 실시했다.
롯데그룹에게 더욱 큰 문제는 사드가 실전에 배치되는 5~7월 전후로 중국정부의 보복성 조치가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롯데그룹에서 롯데쇼핑, 롯데칠성음료, 롯데제과, 롯데케미칼, 롯데시네마, 롯데자산개발 등이 중국에서 사업을 펼치고 있다. 롯데그룹이 1994년 중국에 진출한 뒤 투자한 금액만 10조 원이 넘고 현재 임직원 수도 2만6천 명에 이른다.
국내에서 하고 있는 면세점사업에서도 중국인 관광객의 매출의존도가 70%를 넘는다. 호텔 역시 중국인 투숙객 비중이 30%를 넘어서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드부지로 제공될 성주골프장을 소유하고 있는 롯데상사는 최근 국방부의 사드부지 교환계약을 승인하기 위한 첫 이사회를 열었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다. 두번째 이사회 개최 일정은 알려지지 않았다.
롯데상사는 사안이 워낙 민감한 데다 배임문제 등을 우려해 여러 차례 이사회를 열어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롯데그룹이 시간끌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시선도 있다. 박근혜 게이트로 정부의 힘이 빠지고 있는 데다 사드배치 철회 목소리도 계속 나오고 있어 부지제공을 계속 미루면서 상황을 지켜보려 한다는 것이다.
롯데그룹이 중국 당국으로부터 받을 수 있는 제재조치를 놓고 그룹 차원의 대비책을 마련하기 위해 시간을 벌려 한다는 의견도 있다.
롯데그룹이 주저하는 사이 국내에서도 사드부지 제공을 놓고 여기저기에서 롯데그룹을 압박하고 있다.
시민단체나 노동단체들은 사드부지 제공을 중단하라며 전국 곳곳에서 시위를 벌이고 있다. 민주노총 경남본부는 8일 오전 롯데마트 창원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미 사드부지 제공과 관련해 박근혜 정권과 롯데의 정경유착 의혹이 제기되는 상황”이라며 “롯데의 사드배치 부지 제공은 ‘또 다른 뇌물’로 간주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김성원 새누리당 의원은 7일 성명을 내고 “롯데가 매각 또는 교환 등 부지의 가치와 사업성과 관련 검토 사안이 많다고 하지만 사실 중국에 진출한 사업에 미칠 보복성 조치를 우려해 최종 결정을 미루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롯데가 대한민국의 안위보다 중국의 눈치를 보고 있다는 사실이 놀랍다”며 “롯데가 대한민국 기업이라면 국가 안보를 위해 사드부지를 무상으로라도 당장 제공해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