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바이오·제약

LG화학·동아에스티 성장호르몬 시장 양분, 연간 1천만 원 비용에도 '키 크는 주사' 남용 우려

김민정 기자 heydayk@businesspost.co.kr 2025-07-27 06:00:00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LG화학·동아에스티 성장호르몬 시장 양분, 연간 1천만 원 비용에도 '키 크는 주사' 남용 우려
▲ 국내 성장호르몬 시장점유율은 LG화학과 동아에스티가 나란히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첫째 아이로 효과 톡톡히 봤어요. 둘째도 곧 맞출 생각이다.” “딸아이 키가 155㎝이었는데, 3년 정도 맞았더니 지금은 160㎝정도 됐다. 비용은 많이 들었지만 선택하길 잘 했다고 생각한다”

성장호르몬제가 이른바 ‘키 크는 주사’로 불리며 학부모 사이에서 ‘필수템’처럼 여겨지고 있다.
 
치료 목적의 전문의약품이지만, 정작 주사를 맞는 아이들 중 상당수는 질환 진단 없이 조금 더 크길 바라는 정상 성장 범주의 아이들이다. 이같은 수요에 힘입어 국내 성장호르몬제 시장은 4년 만에 두 배 가까이 커졌다. 하지만 동시에 부작용과 오남용 우려도 커지고 있다. 

27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최근 성장호르몬제 처방 증가와 함께 부작용 사례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글로벌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국내 성장호르몬제 시장은 2019년 약 1457억 원에서 2023년 약 2775억 원으로 뛰었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성장호르몬 이상사레 보고건수는 △2020년 660건 △2021년 1189건 △2022년 1603건 △2023년 1626건 △2024년 1809건으로 늘었다. 

성장호르몬제의 부작용은 발진, 전신 가려움, 간 효소 수치 상승, 구토·복통 등 소화기계 이상, 어깨 관절통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 백혈구 수 증가 등이다.

이에 정부는 성장호르몬제의 무분별한 사용을 막기 위해, 해당 의약품이 질병 치료 목적의 전문의약품임을 강조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21일 성장호르제 과대광고 단속과 함께 관련 안전 정보 제공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KBS 시사 프로그램 ‘추적60분’에서도 ‘키 크는 주사 열풍’을 조명하며 무분별한 사용에 경계했다. 방송 이후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부작용을 제대로 알지 못했다”, “아이에게 미안하다”는 반응이 이어졌다. 동시에 “부작용은 약으로 해결할 수 있으니 치료를 계속하겠다”는 반응도 적지 않았다.

성장호르몬제는 본래 성장호르몬 결핍증, 터너증후군, 만성 신부전 등 명확한 적응증에 따라 처방되는 전문의약품이다. 건강보험 적용은 또래 기준 키가 하위 3% 이하일 때만 가능하다.
 
LG화학·동아에스티 성장호르몬 시장 양분, 연간 1천만 원 비용에도 '키 크는 주사' 남용 우려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1일 성장호르몬제 과대광고 단속과 함께 관련 안전 정보 제공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하지만 현실에서는 정상 성장 범주에 속한 아동에게도 비급여 처방이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다. 2024년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 따르면 전체 성장호르몬제 처방의 97%가 비급여 처방이었다. 

식약처가 2019년 ‘특발성 저신장증’을 성장호르몬제의 적응증으로 허가하면서 시장은 급격히 확대됐다.

성장호르몬제를 투약 중인 자녀를 둔 한 학부모는 “병원에서는 성장호르몬제를 맞아도 최대 5㎝ 정도 크는 데 그친다고 하지만, 평균 키는 되도록 돕고 싶어 치료를 결정했다”며 “노력해도 안 되는 것과 아무 시도도 안 해보는 것은 다르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의료업계 관계자는 “자녀의 큰 키를 바라는 학부모들의 열망에 따라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연간 치료비용만 1천만 원에서 1200만 원, 2년 치료 시에는 2400만 원에 달하지만 성장호르몬제 열풍은 쉬이 사그라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성장호르몬 시장 점유율은 LG화학과 동아에스티가 나란히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2024년 기준 LG화학의 ‘유트로핀’은 38.9%, 동아에스티의 ‘그로트로핀’은 31.6%의 시장점유율을 보였다. 장기 투약이 필요한 특성상 수급 안정성과 가격 경쟁력을 이유로 국내 제품에 대한 선호가 높다.

의료업계 관계자는 “호르몬제는 투약 전 부작을 등은 정밀하게 검사하기 때문에 과도한 부작용 우려는 경계해야 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어린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인 만큼, 보호자와 환아의 충분한 이해와 동의가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고 봤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성장호르몬제는 장기 투약이 필요한 의약품이라 안전성에 대한 장기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민정 기자
 

최신기사

DS투자 "삼성에스디에스 CSP·MSP·SaaS 전방위적 대외매출 증대 전망"
키움증권 "KB금융 상반기 최대 실적, 주주환원율 52%"
키움증권 "기업은행 올해 사상 최대 실적 전망, 현금배당의 매력 부각"
김건희 특별검사팀, '공천개입 공범' 의혹 윤상현 의원 소환 조사
키움증권 "JB금융지주 2분기 분기 최대, 수익은 증가하고 비용은 감소"
키움증권 "삼성E&A 비화공 매출 부진, 하반기 수주 가시화와 포트폴리오 확대"
키움증권 "LG디스플레이 마침내 발광하는 실적, OLED가 이끌 실적 서프라이즈"
키움증권 "현대차 매는 먼저 맞는게 낫다, 그런데 늦어진다"
키움증권 "삼성중공업 하반기 LNG 중심의 견조한 수주 실적 달성 전망"
한미반도체 TC 본더 이익 기여도 낮아져, 상상인증권 "올해 실적 상저하고"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