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LG화학이 성장호르몬제 치료 이후 키 성장 정도를 예측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자체 개발해 저신장증 치료 환경을 개선한다.
LG화학은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유럽소아내분비학회 및 유럽내분비학회 총회에서 ‘AI 기반 성장 예측 모델 개발’을 주제로 포스터 발표를 진행했다고 28일 밝혔다.
▲ LG화학이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유럽소아내분비학회 및 유럽내분비학회 총회에서 'AI 기반 성장 예측 모델 개발'을 주제로 포스터 발표했다고 28일 밝혔다. 사진은 AI 모델 관련 포스터 일부 갈무리. |
이 연구는 심영석 아주대학교병원 교수, 정지연 LG화학 DX팀 책임 등이 참여했다.
심영석 교수는 발표에서 “저신장증 환아들의 성장호르몬제 치료 효과를 예상하기 위한 진료 현장의 수요가 지속 커지고 있다”며 “LG화학의 유트로핀 장기안전성 연구를 통해 누적된 대규모의 치료 데이터를 활용해 키 성장 예측 AI 모델을 고도화시켰다”고 말했다.
LG화학은 여러 개의 기존 딥러닝 모델을 결합 및 재조합한 앙상블 AI 모델을 구축해 저신장증 환아 3045명의 치료 데이터를 학습시켰다.
연구에 적용된 저신장증 질환은 성장호르몬결핍증과 특발성저신장증, 부당경량아, 여아들의 터너증후군 등이다.
예측 안정성 등을 평가하기 위해서 550명 환아의 실제 성장치를 AI 성능 검증 데이터로 활용했다.
LG화학에 따르면 개발한 AI 모델은 기존 전통적 통계 기법 모델과 성장 예측 결과를 비교에서 더욱 정확한 예측 성능을 발휘한 것으로 분석됐다.
LG화학은 성장호르몬제 치료에 따른 신장 백분위수 변화를 제시하는 유용한 진료 방안이 되도록 예측 성능을 추가 안정화해 의료 현장 적용을 추진할 계획을 세웠다.
윤수영 LG화학 생명과학·경영혁신담당은 “국내 저신장증 환아 데이터 중심으로 우리나라 아이들에게 특화된 성장예측모델을 개발한 것에 의미가 크다”며 “LG화학의 고객가치혁신 성과가 실제 진료 현장에서 치료의 나침반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