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건설

지난해 국내 건설근로자 14%이상이 외국인, 5년 동안 비중 꾸준히 늘어

안수진 기자 jinsua@businesspost.co.kr 2025-05-20 12:12:59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지난해 국내 건설근로자 14%이상이 외국인, 5년 동안 비중 꾸준히 늘어
▲ 지난해 퇴직공제에 신고된 체류자격 확인 국내 외국인 근로자 출신 국가 비율. <건설근로자공제회>
[비즈니스포스트] 지난해 국내 건설현장 근로자의 14% 가량은 외국인인 것으로 집계됐다.

20일 건설근로자공제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건설업계의 외국인근로자는 22만9541명으로 전체의 14.7%를 차지했다. 집계대상에는 1년 동안 하루라도 일한 사람이 모두 포함됐다.

국내 건설 근로자 가운데 외국인 비율은 최근 5년 동안 꾸준히 늘었다. 2020년은 11.8%가 외국인이었고 2021년은 12.2%, 2022년은 12.7%, 2023년은 14.2%였다. 

퇴직공제에 신고된 전체 외국인 근로자수는 지난해 월 평균 11만4186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4만9371명이 체류자격(비자)과 국적이 모두 확인됐다.

조선족(한국계 중국인)이 4만1307명으로 체류자격과 국적이 모두 확인된 외국인 근로자 가운데 가장 높은 83.7%를 차지했다.

조선족을 제외한 중국인은 2915명(5.9%)이었고 베트남인 1098명(2.2%), 고려인(한국계 러시아인)은 832명(1.7%)으로 뒤를 이었다. 

이들의 절반 가량(2만4862명)은 재외동포비자로 체류자격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외동포비자를 받으면 3년 동안 체류하면서 건설업에서 일할 수 있는 자격을 받는다.

다른 경로로는 영주권비자 1만1037명(22.4%)과 방문취업비자 6472명(13.1%) 등이 뒤를 이었다. 영주권비자는 영구체류가 가능하고 방문취업비자는 3년 체류가 가능하다. 

외국인 근로자 평균나이(입직 당시 기준)는 42.5세로 내국인 근로자(45.7세)보다 3.2세 정도 젊었다.

외국인 근로자 통계는 공제회 홍보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안수진 기자

최신기사

SK온 최고재무책임자 김경훈, 6월 SC제일은행 부행장으로 돌아간다
상상인증권 "동국제약 기업가치 저평가될 이유 없다, 뷰티사업 고성장 중"
하나증권 "GS리테일 1분기 모든 사업부 부진, 편의점 실적 회복이 관건"
하나증권 "BGF리테일 2~3분기 성수기 실적 중요, 업황 회복 판단의 잣대"
하나증권 "신세계 백회점은 안정적 실적 유지, 면세점 턴어라운드가 관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 규모 확대 가능성, 6월 말 최종 발행가액 확정
한화갤러리 백화점 실적 둔화에 존재감 옅어져, 김동선 시선은 식음료 쳐다본다
'아우디 Q4 e-트론' 집단분쟁조정 절차 시작, 에어컨 결함 무상수리 요구
미국 '중국산 배터리 소재'에 상계관세 부과하기로, 전기차 가격 상승 전망
하나증권 "현대백화점 하반기 백화점 성장률 회복, 면세점·지누션 실적 개선"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