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금융  금융

빚에 허덕이는 가구들, 100만 원 벌어 빚갚는 데 27만 원 써

이규연 기자 nuevacarta@businesspost.co.kr 2016-12-20 16:53:19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가구가 올해 은행 등에서 빌린 돈이 자산이나 소득보다 훨씬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전체 가구소득에서 빚을 갚는 데 쓰이는 돈도 증가하고 있다.

20일 통계청,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에서 전국의 2만 가구를 조사해 발표한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 가구가 3월 기준으로 평균 6655만 원을 빚으로 지고 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4% 증가했다.

  빚에 허덕이는 가구들, 100만 원 벌어 빚갚는 데 27만 원 써  
▲ 20일 통계청,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에서 발표한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 가구가 3월 기준으로 평균 6655만 원을 빚으로 지고 있는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4% 증가했다. 사진은 한 은행 지점의 모습. <뉴시스>
가구당 평균 자산은 3억6187만 원으로 집계돼 지난해 3월보다 4.3% 증가했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금융자산 9400만 원(26.0%)과 실물자산 2억6788만 원(74.0%)으로 구성됐다. 소득 수준으로 따지면 1분위가구 6.7%, 5분위가구 44.7%로 빈부격차가 심화되고 있다.

가구당 평균 소득은 2015년 기준으로 4883만 원으로 2014년보다 2.4% 늘어나는 데 그쳤다. 특히 가구주가 30대 미만인 가구의 소득은 1년 전보다 3.7% 감소했다.

가계부채 항목의 비중을 살펴보면 금융부채 4686만 원(70.4%), 임대보증금 1968만 원(29.6%)다. 금융부채는 지난해 3월보다 7.5% 증가했다. 금융부채의 세부적인 항목을 보면 담보대출 3847만 원(57.8%), 신용대출 692만 원(10.4%)이다.

가구당 평균부채를 연령 기준으로 살펴보면 가구주의 연령대가 50대일 경우 평균부채 8385만 원으로 가장 많은 빚을 졌다. 다른 기준으로 볼 경우 자영업자 가구(9812만 원), 소득 5분위 가구(1억5719만 원), 순자산 5분위 가구(1억5901만 원) 등도 다른 계층보다 빚을 많이 졌다.

소득 5분위별 가구의 평균 부채 증감률을 살펴보면 소득 3분위 11.9%, 5분위 9.4%, 4분위 3.2%, 1분위 –0.4%, 2분위 –4.7% 순서다.

소득이나 순자산 5분위는 국민 전체의 소득 혹은 순자산을 다섯 구간으로 분류한 것을 뜻한다. 5분위는 최상위 20%, 4분위는 상위 60~80%, 3분위는 40~60%, 2분위는 20~40%, 1분위는 하위 20%를 뜻한다.

가계의 재무건전성 지표인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비율(DST)은 지난해 기준으로 평균 26.6%를 기록해 2014년보다 2.6%포인트 올랐다. 가계가 100만 원을 벌 경우 26만6천 원을 대출원금이나 이자를 갚는 데 쓰고 있다는 뜻이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비율은 지난해 기준으로 평균 116.5%를 기록해 2014년보다 5.5%포인트 상승했다. 가계가 1년간 번 돈보다 부채가 16.5% 규모만큼 더 많다는 것이다.

노인빈곤층 문제도 앞으로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됐다.

통계청 등의 조사결과 가구주가 은퇴하지 않은 가구에서 3월 기준으로 ‘가구주와 배우자의 노후준비가 전혀 되지 않았다’고 대답한 비율이 19.3%에 이르렀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포인트 올랐다. ‘노후준비가 잘 되지 않았다’도 37.3%를 차지했다.

가구주가 은퇴한 가구는 3월 기준으로 ‘생활비가 매우 부족하다’로 대답한 비율이 21.5%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포인트 높아졌다. ‘부족하다’도 39.0%에 이르렀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

최신기사

두산 지난해 보수 박정원 113.6억 박지원 40억, 두산로보틱스 박인원 8억
리가켐바이오 영국 익수다테라퓨틱스에 2500만 달러 투자, 경영 참여하기로
정부,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관련 '메이슨 사건' 판정 불복소송에서 패소
정태영, 현대카드와 현대커머셜에서 작년 보수 모두 40억3300만 원 받아
다올투자증권 황준호 대표 연임 확정, 임재택 영입 무산 영향
새마을금고 지난해 순손실 1조7천억으로 역대 최대 규모, 연체율도 악화
메리츠금융지주 5천억 규모 보통주 609만 주 소각 결정, 주주환원 강화
이재명 13일째 단식 김경수 찾아 중단 권유, "살아서 내란세력과 싸우자"
금감원 홈플러스 사태 대응 특별팀 본격 가동, 불공정거래·회계심사 착수
현대해상 이석현 대표이사 선임, 6년 만에 단독 대표 체제 전환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