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문희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사장이 철도운임 인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25일 코레일에 따르면 한 사장은 이날 대전 동구 철도공사 사옥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2011년 12월 뒤 14년 동안 동결된 철도운임의 인상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 한문희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사장이 2025년 3월25일 대전 동구 철도공사 사옥에서 국토교통부 출입기자단을 상대로 기자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
한 사장은 “자구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기요금 및 임금 등 원가가 크게 올랐고 부채 증가에 따른 이자비용 탓에 재무 건정성에 한계가 왔다”고 강조했다.
코레일의 설명을 들어보면 철도운임이 멈춰 있는 동안 고속버스, 서울 시내버스, 수도권 전철, 항공 등 다른 교통수단 요금은 모두 올랐다. 이 기간 소비자 물가 지수는 27%, 최저임금은 128%, 철도공사의 전기요금은 183% 증가했다.
철도공사의 지난해 말 기준 부채비율은 265%, 부채는 21조 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이자만 연간 4130억 원 규모다.
또 철도공사는 2004년 도입한 기종인 KTX-1 46대를 기대 수명이 끝나는 2033년까지 교체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5조 원 안팎의 자금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 사장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낼 수 있어야 한다”며 “수입이 늘어 영업손실 폭은 줄었지만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철도공사는 KTX 운임은 17%, 일반 철도운임은 10%가량 올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와도 소통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 사장은 “(철도운임 인상이) 늦어질수록 일시에 인상률이 높아질 수 있다”며 “정부와 운임 인상 관련 어느 정도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한 사장은 “힘든 상황에서도 KTX를 안정적으로 운영해 왔듯이 앞으로도 철도 안전과 서비스 수준을 높이고 공공성을 지기는 데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