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2025금융포럼
기업과산업  화학·에너지

테슬라 작년 글로벌 ESS 시장 1위 꿰차, 상위 10곳 중 6곳은 중국기업

이근호 기자 leegh@businesspost.co.kr 2024-08-09 10:37:53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테슬라 작년 글로벌 ESS 시장 1위 꿰차, 상위 10곳 중 6곳은 중국기업
▲ 벨기에 레신(Lessines) 지역에 2022년 12월 설치된 테슬라의 ESS 메가팩. <테슬라>
[비즈니스포스트] 테슬라가 2023년 전 세계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BESS) 시장 점유율에서 1위에 올랐다. 

상위 10곳 업체들 가운데 6곳은 중국 기업이 차지했다. 

8일(현지시각)에너지 전문 조사업체 우드맥킨지에 따르면 테슬라는 작년 글로벌 BESS 시장에서 15%의 점유율로 1위를 점했다. 

2022년에는 14%로 공동 2위였는데 점유율을 1%포인트 높이며 순위가 상승했다. 

테슬라는 안방인 미국을 포함해 북미 지역에서 1년 사이 점유율을 크게 높였다. 유럽에서도 니덱(구 일본전산)과 중국 BYD와 함께 점유율 상위 3곳 업체에 들었다. 

우드맥킨지 소속인 케빈 샹 ESS 선임 분석가는 테슬라의 경쟁력 이유를 “하드웨어 제조에서 에너지 저장 솔루션까지 산업을 통틀어 가장 수직 통합된 공급망을 갖춘 기업”이라고 분석했다. 

테슬라는 캘리포니아주 라스롭에 위치한 40기가와트시(GWh) 규모의 ESS 메가팩 공장에서 생산을 늘리고 있다. 중국 상하이에서도 같은 규모의 메가팩 공장을 올해 5월 착공했다. 

작년 BESS 시장에서 상위 10곳 기업 가운데 6곳은 중국 업체들이었다.

2위 선그로우와 3위 중국중차(CRRC)를 비롯 업체들은 주로 자국 내에서 BESS 제품을 공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작년에 BESS 시장 규모가 가장 많이 성장한 국가라고 알려졌다. 

우드맥킨지는 글로벌 상위 5곳 업체들 점유율이 2022년 62%에서 작년 47%로 축소됐다는 점을 함께 짚으며 시장에 신규로 진입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근호 기자

최신기사

이재명 다음 주 4대그룹 회장 간담회, 한미 관세협상 타결 후속 대책 논의
김동녕 18년 만에 한세실업 대표이사로 경영 복귀, 3인 각자대표 체제로 전환
LG전자 조주완 "스마트팩토리 누적 수주 1조 눈앞, 반도체·제약으로 확장"
KT&G 3분기 매출 1.8조 영업이익 4653억 역대 최대, 연간 실적 목표치 상향
하나증권 "한미약품 고지혈증 제네릭에서 압도적 매출 성장, 비만 약 내년 4분기부터 매..
현대면세점 첫 연간 흑자 가시권, 박장서 신라·신세계 빠진 인천공항점 입점 결단하나
IBK투자 "현대그린푸드 범현대 외 수주 경쟁력 확대, 생산효율도 개선"
아모레퍼시픽그룹 3분기 영업이익 1043억 내 39% 증가, 글로벌 매출 호조
IBK투자 "네이버 AI·젼환 가속화, 광고 커머스 콘텐츠에 통합 플랫폼 전략"
루닛 자회사 볼파라와 브랜드 통합, 서범석 "AI 혁신기업으로 한 단계 도약"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