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다중채무자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저축은행 업계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다중채무자 증가는 연체율관리 등 비용을 늘려 저축은행 업계 양극화를 가속시킬 것으로 보여서다. 이에 양극화 해소를 취임 초부터 과제로 내걸어 온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의 해법찾기가 더 어려워지게 됐다.
▲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이 저축은행 업계 양극화 해소를 위한 해법을 찾는 데 힘쓰고 있다. |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다중채무자는 역대 최대치를 기록해 저축은행 업계 양극화를 심화할 것이란 시각이 나온다.
양경숙 의원실이 최근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가계대출 다중채무자는 448만 명으로 3월 말보다 2만 명이 늘었다. 한은에 따르면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다.
저축은행은 다중채무자와 연관성이 높다. 다중채무자 비율은 여러 금융업권 가운데 저축은행 업계에서 가장 높은 편이기 때문이다.
다중채무자 비율은 지난해 3월 기준 저축은행에서 75.3%이었다. 다른 제2금융권인 상호금융(35.3%)과 카드사(54.5%), 캐피탈사(59.6%) 등보다 높았다.
금융당국은 이에 따라 9월 감독규정을 개정해 저축은행에 내년 7월부터 다중채무자 관련 충당금을 더 쌓으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다만 다중채무자 추가충당금과 관련한 반응은 저축은행 덩치에 따라 극명하게 갈렸다.
자산규모 5위권인 A 저축은행 관계자는 “추가 충당금과 관련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란 의견을 내놨다. B 대형저축은행 관계자도 “위험 관리는 충실히 해 왔고 충당금도 미리 쌓아둔 것이 있기 때문에 별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반면 업계 전반에 대해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아직 도입까지 시간이 남았기 때문에 단정지을 수는 없다”면서도 “저축은행 업계 전체에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고 내다봤다.
다중채무자 확대로 저축은행 업계 양극화가 심화할 수 있는 셈이다. 저축은행 업계에서 양극화는 계속되고 있다는 지적이 이미 나온다.
한국신용평가는 지난달 보고서에서 “상위 20개 사의 자산 기준 점유율이 3월말 기준 약 73%에 달하는 반면 나머지 59사는 27%에 불과해 대형사와 중소형사 규모 격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다”며 “대형사와 중소형사 격차는 점차 심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6월 말 기준 저축은행 79곳 전체 자산 대비 상위 2개 저축은행(SBI, OK)의 비율은 22.4%였다. 지난해 6월 말(21.4%)보다 1%포인트 늘었다.
▲ 저축은행중앙회장 자리에는 그동안 관료 출신이 득세해 왔다. 사진은 저축은행중앙회 석. <연합뉴스> |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의 고민이 깊어지게 된 배경이다. 그는 취임하면서부터 저축은행 업권의 양극화 해소를 과제로 꼽아왔다.
오 회장은 지난해 2월 회장에 당선된 뒤 기자를 만난 자리에서 “알다시피 저축은행들은 너무 규모 차이가 크기 때문에 규모별로 성장 밑그림을 달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저축은행중앙회가 나서서 규모별 성장 모델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최근 한 언론과 진행한 인터뷰에서도 “중앙회 차원에서 업계 공동사업 추진과 연계대출 등 대외기관 제휴를 통한 신규 영업채널 확보 등 지방저축은행 상품, 채널 등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 회장은 지난해 취임 당시 최초의 업계 출신 저축은행중앙회장으로 저축은행 업권 전반의 목소리를 대변할 것으로 기대받았다. 저축은행 중앙회장 자리는 그동안 관료출신의 몫이었다.
오 회장은 2018년부터 4년 동안 하나저축은행 대표이사로 일했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는 아주저축은행 대표이사를 지냈다. 이전에는 HSBC은행에서 경력을 쌓았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