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수재 기자 rsj111@businesspost.co.kr2023-09-25 15:53:33
확대축소
공유하기
[비즈니스포스트] 금융권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로 연체율이 상승함에 따라 건설사들의 유동성 대응을 포함한 사업 및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신용평가는 25일 ‘건설: 끝나지 않은 PF 위험, 유동성 역경에서 살아남기’ 보고서를 발간했다.
▲ 금융권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로 연체율이 상승함에 따라 건설사들의 유동성 대응을 포함한 사업 및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은 서울 지역 아파트. <연합뉴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6월 말 기준 한국신용평가의 신용등급을 보유한 건설사의 PF보증규모는 27조7천억 원으로 2022년 말보다 1조7천억 원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만기별로 보면 3~12개월 10조8천억 원(비중 39%), 12개월 초과 10조3천억 원(38%), 3개월 이내 6조5천억 원(23%) 등이다.
PF보증규모에서 사업성 저하로 인한 현실화 가능성이 크지 않은 정비사업 관련 금액을 제외한 PF보증규모는 19조1천억 원으로 착공현장은 6조3천억 원(33%), 미착공 현장은 12조7천억 원(67%)으로 조사됐다.
미착공 현장 PF보증 규모를 유형별로 보면 아파트 6조6천억 원(52%), 기타 4조1천억 원(33%), 준주거시설 2조 원(15%)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서울 5조9천억 원(46%), 인천·경기 2조5천억 원(20%), 비수도권 4조3천억 원(34%) 등이다.
건설사들은 PF사업 비중이 큰 지방 예정현장의 착공 및 분양이 지연되면서 브릿지론 단계에서 본PF로 전환해 우발채무를 해소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PF차입금을 차환하는 과정에서 추가 신용보강을 제공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PF는 브릿지론과 본PF으로 구분된다. 자본력이 열악한 시행사가 토지를 확보하기 위해 제2금융권에서 자금을 빌려쓰는 브릿지론 단계가 있고 인허가를 받아 시공사를 선정하면 제1금융권에서 본PF로 넘어가 사업이 진행된다.
특히 중견 건설사의 유동성 대응 부담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들은 상위 건설사와 비교해 분양위험이 높은 사업장으로 구성돼 운전자금, PF보증 부담에 더 많이 노출돼 있고 외부 자원이나 자산담보 없이 자체 자금 조달도 쉽지 않은 상황으로 파악됐다.
한국신용평가는 “현금흐름 부진과 자금조달 차질이 지속됨에 따라 시공능력 50위 이내 중견 건설사들의 유동성 대응에 더욱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고 진단했다.
한국신용평가가 신용등급을 보유하고 있는 건설사 가운데 PF보증이 1조 원을 넘는 업체는 현대건설(8조4천억 원), 롯데건설(6조2천억 원), 태영건설(2조7천억 원), GS건설(2조9천억 원), HDC현대산업개발(2조3천억 원) 등 5곳으로 나타났다.
현대건설은 PF보증규모가 크지만 서울 가양동 CJ공장 부지, 이마트 부지 등 사업성이 양호하고 재무여력이 풍부해 PF우발채무 위험은 통제 가능한 수준으로 파악됐다. HDC현대산업개발은 PF보증 현장이 대부분 착공됐고 분양실적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GS건설은 비수도권에 위치한 사업장의 진행이 지연되면 우발채무 위험이 커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또한 최근 인천 검단 지하주차장 붕괴사고와 정부의 영업정지 처분 등 불확실성에 PF 유동화증권 차환에 영향 받을 수도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롯데건설은 PF보증규모가 자기자본보다 과중한 수준으로 미착공 사업장 비중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서초헌인마을(3천억 원) 등 사업장의 본PF 전환 여부가 신용도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됐다.
태영건설은 PF차환 과정에서 발행금리가 10%를 넘는 것으로 파악된다. 착공이 진행된 현장도 분양이 진행되지 못하거나 산업단지, 물류센터 등의 비중이 높아 상당한 변동성이 내재된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신용평가는 “자본시장 접근성이 취약한 중견 이하 건설사들은 업황 부진이 장기화 되면 유동성 대응 부담이 점차 커질 수밖에 없다”며 “당분간 신용평가 과정에서 각 업체별 유동성 대응 수준, PF우발채무 규모 및 통제 능력을 우선적으로 검토해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류수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