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BNK경남은행과 KB국민은행이 울산시 1금고 운영권을 두고 경쟁한다.
경남은행은 26년 동안 울산시 ‘금고지기’ 자리를 지켜왔는데 최근 분위기 등을 고려할 때 국민은행에 운영권이 넘어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도 나온다.
▲ 울산시 1금고 운영권을 두고 경남은행과 국민은행이 맞대결을 펼친다. 사진은 BNK경남은행 본점. |
1일 울산광역시에 따르면 9월 말 금고지정 심의위원회의 심의 결과에 따라 1금고와 2금고 사업자를 지정한다.
차기 금고의 약정 기간은 2024년부터 2027년까지로 4년이다. 다음 시금고 사업자로 지정된 은행은 이 기간에 4조5천억 원 규모의 예산과 기금 등 자금을 굴리게 된다.
울산시가 8월24~25일 금고 지정 제안서를 받은 결과 1금고에는 경남은행과 국민은행이 참여해 맞대결을 펼치게 됐다.
2금고를 두고서는 NH농협은행과 국민은행이 경쟁을 펼친다. 2금고 사업자는 6400억 원 규모의 상하수도회계·농어촌기금 등의 특별회계를 맡는다.
울산이 1997년 광역시로 승격한 뒤 줄곧 1금고는 경남은행이 맡아 왔다. 하지만 이번에도 경남은행이 금고 사업권을 따낼 것이라고는 장담하기 어려워 보인다.
경남은행은 지역 기반이 탄탄하고 26년 동안 금고지기를 맡으면서 운영 노하우를 쌓았다는 게 강점으로 꼽히지만 최근 분위기로 볼 때 울산시는 이 점보다는 다른 요인을 중요하게 볼 것으로 예상된다.
울산시는 사실상 시금고 운영권을 두고 지난해 말부터 경남은행에 출연금 증액 등을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는 경남은행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시금고 선정에는 다양한 항목이 고려되는데 지방은행은 특히 협력사업비 등 항목에서는 막강한 자본력을 갖춘 시중은행에 비해 불리하다.
더욱이 최근 1천억 원대 횡령 사고가 발생한 점도 경남은행은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경남은행은 횡령 자금에 대해 최대한 회수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전액 회수할 수 있을지는 장담하기 어렵다.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이후 은행권 횡령사고 환수율은 7% 정도에 불과하다.
경남은행은 우선 횡령금액의 일부를 지난해와 올해 경영실적에 반영했다. 이에 따라 경남은행의 올해 2분기 순이익도 763억3600만 원에서 688억3700만 원으로 감소했다.
울산시는 경남은행에 110억 원 수준이었던 협력사업비를 늘릴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KB국민은행은 바로 이런 점을 충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남은행과 경쟁에서 유리하다. 당장 국민은행과 경남은행은 단순히 순이익만 봐도 상반기 기준으로 1조8418억 원, 1538억 원으로 덩치에서 큰 차이가 난다.
▲ 국민은행은 2019년에 이어 올해도 울산시금고 사업자 공모에 참여했다. |
KB국민은행이 4년 전에도 울산시금고 사업권 공모에 참여했던 점이나 다른 20곳 지방자치단체 금고를 운영하는 점 등은 평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조선대가 최근 신한은행을 주거래은행으로 선정한 것처럼 갈수록 지방에서도 시중은행의 입지가 커지고 있다”며 “국민은행이 따낼 가능성도 없지 않다”고 말했다.
국민은행을 비롯한 시중은행은 최근 들어 금융당국의 정책 등으로 가계대출을 늘리는 데 어려움이 생기면서 기업 대출과 기관영업에 부쩍 힘을 싣고 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 금고는 운영을 맡게 되면 저원가성 예금을 대규모로 확보할 수 있어 조달 비용도 낮출 수 있고 신용도가 높은 공무원 등을 고객으로 확보하는 일도 수월해진다.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