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총리는 문재인정부의 마지막 국무총리직과 함께 30여 년에 걸친 정치 인생에도 마침표를 찍었다.
▲ 김부겸 국무총리가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이임식을 마치고 총리실 직원 대표에게 꽃다발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김 총리는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이임식에서 "지난 30년 넘게 해왔던 정치인과 공직자로서의 여정을 마무리한다"며 "한 세대가 넘는 오랜 시간 동안 많이 부족한 저를 국민의 공복으로 써주고 우리 공동체를 위해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준 국민께 고개 숙여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힘에 부치고 좌절했던 순간들도 많이 있었지만 그때마다 ‘내가 왜 정치를 하고 왜 공직에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졌다”며 “정치인으로서 공직자로서의 삶은 결국 ‘국민을 위한 것이 아니면 아무런 의미도 없다’는 당연하고도 엄중한 사실을 잊지 않으려고 노력했다”고 덧붙였다.
코로나19 위기의 정점을 넘어설 수 있었던 데는 공직자들의 노력과 공이 컸다고 강조했다.
김 총리는 코로나19 위기가 심각했던 지난해 5월 국무총리 취임 당시를 떠올리며 “‘이 막중한 임무를 과연 잘 해낼 수 있을까’하는 두려움이 저라고 왜 없었겠냐”며 “매순간 헌신적으로 업무에 임하는 공직자 여러분을 보면서 큰 용기를 얻었다"고 돌아봤다.
이어 “지금은 우리나라가 코로나19의 정점을 넘어서 일상으로 조금씩 회복해가고 있다"며 "지난 1년 동안 제가 기여한 작은 것이라도 있다면 그 모든 공은 바로 여러분께 돌아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총리는 ‘공동체 정신’의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갈등과 분열을 겪고 있는 우리 공동체의 모습을 보면서 지난 세월 역경과 고난을 넘어 위기 때마다 한 마음으로 뭉쳐 돌파해 낸 국민 여러분과 대한민국을 책임져 오신 그 선배님들, 온몸을 바쳐 오늘의 대한민국을 만드신 우리 부모님들과 형제자매들 앞에서 참으로 부끄럽고 죄송하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대화와 타협, 공존과 상생은 민주공화국의 기본 가치이자 지금 대한민국 공동체에 가장 절실하게 필요한 정신이다”며 “대한민국은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따뜻한 공동체’가 돼야한다”고 역설했다.
김 총리는 1991년 김대중 전 대통령이 이끌었던 민주당에서 부대변인을 맡아 정치권에 입문해 4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국회에 첫발을 딛을 때는 보수정당인 한나라당 소속이었지만 이후 3번은 민주당 계열 정당에서 출마해 당선됐다.
지난해 5월 문재인정부의 3번째 국무총리직을 맡아 재난지원금과 손실보상 등 주요 당정 갈등 국면에서 핵심 조정자의 역할을 수행했다. 진보 정치인으로서는 험지인 대구에서 고군분투하며 정치권에서 대표적 ‘협치 아이콘’으로 통했다.
김 총리가 퇴임하면서 당분간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총리대행으로 공석인 총리직을 맡게 됐다. 임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