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김상현 홈플러스 대표이사 사장이 지난 4월26일 서울시 강서구 등촌동 소재 홈플러스 신사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앞으로 경영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김상현 홈플러스 대표가 연이어 터지는 악재에 직면해 있다.
홈플러스는 가습기 살균제 유통에 대한 책임론이 불거진 데다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거액의 과징금을 부과받고 검찰에 고발됐다.
김 대표는 실적을 개선해 기업가치 끌어올리는데 매진하고 있는데 이번 악재의 파장이 커질 경우 그의 노력들이 물거품이 될 수 있다.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이철희 형사2부장)은 20일 홈플러스 품질관리 담당자 2명을 불러 조사하기 시작했다.
검찰은 18일에도 홈플러스 개발담당 직원 2명을 불러 조사했다.
홈플러스는 옥시의 가습기 살균제 제품이 큰 인기를 모으자 미투 상품을 기획하고 중소 납품업체에게 납품을 받아 2004년 PB 제품 ‘홈플러스 가습기 청정제’를 내놓았다. 이 제품은 28명(사망 12명)의 피해자를 낳았다.
가습기살균제를 판매할 당시 책임자들은 모두 회사를 떠났지만 홈플러스는 이번 파문으로 이미지 타격이 불가피하다.
홈플러스는 유해성 검토나 시장성 조사를 포함한 제품기획 전반을 내부 전담조직이 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검찰조사로 홈플러스가 안전성 검증과 관리에 소홀했다는 점이 명확하게 드러날 경우 이에 대한 법적 책임을 져야하는 것은 물론이고 홈플러스 자체브랜드(PB)제품 전반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홈플러스는 최근 공정위로 부터 유통업법 위반행위와 관련해 220억3200만 원의 과징금을 부과 받았다. 이마트(10억 원)와 롯데마트(8억5800만 원)보다 20배가 넘는 규모다.
홈플러스는 가장 큰 규모의 과징금을 부과 받은데 더해 검찰에 고발됐다.
공정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납품업자로부터 파견 받은 판촉사원을 직접고용하면서 인건비는 납품업자에게 부담시키고 납품대금을 ‘판촉비용분담금’ 명목으로 주지 않기도 했다. 공정위가 수차례 이를 지적하고 시정조치까지 내렸는데도 홈플러스는 이를 수용하지 않았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아직까지 공정위로부터 세부적인 내용이 들어있는 공문을 전달받지 못했다”며 “공문을 확인한 뒤 대응방안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가습기 살균제 파문에 이어 갑질 논란까지 더해졌다”며 “과징금 규모도 제일 크고 검찰에 고발되기까지 했으니 그만큼 이미지 타격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악재의 파장이 생각보다 커질 경우 실적을 개선해 기업가치를 끌어올리려는 김 대표의 노력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
김 대표는 떨어진 시장점유율을 회복하고 수익성을 개선하는 데 온힘을 쏟고 있다.
김 대표는 4월 신사옥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고객 이탈을 막고 떠난 고객을 다시 모시는 것이 최우선”이라며 “고객이 원하는 것을 파악해 새로운 전략으로 시장점유율을 올리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과거 30%대 수준이던 홈플러스의 시장 점유율은 27~28% 수준으로 낮아졌다.
김 대표는 수익성을 끌어올려 내실을 다지는 데도 공을 들이고 있다. 그의 결단으로 홈플러스는 이마트나 롯데마트와 달리 쿠팡 등 소셜커머스 업체들과의 ‘최저가’ 전쟁에 가담하지 않았다.
홈플러스는 최근 몇년 사이 수익성이 크게 악화했다. 2015년(2014년3월1일~2015년2월28일) 연결기준으로 영업이익은 2409억 원으로 2012년 5684억 원에 비해 반토막났다. [비즈니스포스트 백설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