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정치권에 따르면 송 전 대표는 최근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인 오세훈 서울시장에 오차범위 밖에서 밀리면서 초반 판세가 불리하지만 예상 외로 박빙의 승부가 펼쳐질 수도 있다는 시선이 나온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25일 발표한 서울시장 후보 가상 양자대결 조사에서 송 전 대표는 36.9%의 지지율을 보였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49.7%를 나타내 송 전 대표가 오차범위 밖에서 밀렸다.
하지만 최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지지율이 퇴임을 앞둔 문재인 대통령에 밀리며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새 정부 출범 직후 치러지는 지방선거임에도 국민의힘에 유리하게만 흘러가지 않을 것일나 시선도 나온다. 선거가 한 달가량 남아 있는 만큼 섣불리 승패를 장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한국갤럽이 29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문 대통령의 직무 긍정평가는 45%를 보인 반면 윤석열 당선인은 43%가 긍정평가를 내렸다. 문 대통령이 역대 임기 말 대통령들 가운데 가장 높은 지지율을 보인 반면 새 정부 출범 효과를 누리지 못하고 윤 당선인 지지율은 역대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윤 당선인의 내각 인선 과정에서 불거진 ‘윤로남불’ 논란과 대통령 집무실 이전 추진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송 전 대표는 29일 후보 선출 뒤 “이번 서울시장 선거는 단순히 오세훈 후보와 경쟁이 아니라 윤석열정부와 맞서 시민의 인권과 민주주의, 재산권을 지키기 위한 한판승부다”고 말했다.
새 정부의 지지율 약세를 활용해 이번 선거를 오 시장이 아닌 윤석열정부와 대결 구도로 확전시켜 지지층 결집에 나서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과거 사례를 돌아볼 때도 최근 여론조사 지지율 차이 수준으로 승패를 예단하긴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오 시장은 2010년 서울시장 선거 때 당시 한명숙 민주당 후보를 여론조사에서 20%포인트가량 앞섰지만 실제 투표 결과 0.6%포인트 근소한 차이로 이겼던 바 있다.
송 전 대표도 18일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오 시장이 2016년 20대 총선에서 정세균 전 국무총리를 20%포인트인가 이기는 것으로 당시 여론조사가 나와 여유 부리면서 다른 지역 지원 유세 다니고 그랬다"며 "그러다 거의 20%포인트 가까이 졌을 것이다"고 말했다.
하지만 송 전 대표가 당내 공천 과정에서 겪었던 민주당의 갈라진 당심을 하나로 결집시켜야한다는 전제조건이 붙는다.
서울시는 지난 대선 윤석열 당선인의 손을 들어준 지역이다. 송 전 대표로서는 정권을 내준 뒤 절박해진 민주당 지지층을 최대한 결집시킬 수 있어야한다. 이를 위해 당내 갈등을 봉합하는 것도 우선시된다.
내부 결집을 단단히 해낸 뒤에야 중도층 지지 확장 등도 노릴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지난 한 달 가까이 송 전 대표의 서울시장 출마를 둘러싸고 당내 찬반 양론이 격화되면서 갈등이 깊어졌다. 송 전 대표가 지난 대선 패배에 책임을 지고 민주당 당 대표에서 물러났으나 금세 서울시장에 출마한 것을 두고 반대의 목소리가 컸다.
이 과정에서 민주당 전략공천위원회가 ‘송영길·박주민 컷오프’ 결정을 내렸다 비상대책위원회의 번복, 추가 후보군 영입 실패 등 혼선이 뒤따랐다.
송 전 대표는 2010~2014년 인천시장을 지냈으며 인천 계양을 선거구에서 5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20대 대선에서는 당대표 겸 상임선대위원장으로 선거를 이끌었다. 대선 패배 이후 지도부를 총사퇴했지만 4월 초 주소를 서울로 옮기고 서울시장 출마의사를 밝혔다.
4월28~29일 100% 국민참여 방식으로 진행된 민주당 서울시장 경선 결과 김진애 전 의원을 누르고 민주당의 6월 지방선거 서울시장 후보로 29일 최종 확정됐다.
이 기사에 인용된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여론조사는 TBS의뢰로 서울에 사는 18세 이상 남년 1005명을 대상으로 22~23일 무선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실시됐으며 응답률은 6.0%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갤럽 여론조사는 26~28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3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무선 90%, 유선 10% 임의 전화 걸기(RDD)방식으로 실시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갤럽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임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