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우리 기업의 수출 채산성이 악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11일 발표한 ‘미국 금리 인상이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국내 기업대출 금리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기업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며 “양적 긴축과 재정의 정상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달러화 강세도 무시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 부산항 신선대부두 수출입 화물. <연합뉴스>
수입 거래에서 달러화가 차지하는 비중이 78%로 큰 만큼 달러 강세가 장기화하면 원자재를 수입하는 수출기업은 비용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수입에서 1차산품 및 중간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72%로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은 국내 수입 단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기업 대출금리 인상은 기업의 자금 유동성을 제한한다는 점에서 수출기업에 부담이 된다.
국내 중소기업 대출금리는 과거 미국 금리 인상기(2016년 7월~2018년 10월)에는 30개월 동안 0.5%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으나 최근 2021년 5월부터 올해 2월까지 10개월 동안에는 0.8%포인트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신흥국의 경제와 수입 수요를 둔화하게 만들어 우리나라의 신흥국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신흥국 수출 비중은 2013년 최대 48.1%를 보였으나 2015년 12월 미국의 금리 인상 이후 2017년 44.5%까지 3.6%포인트 감소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을 앞둔 올해 2월에도 신흥국 수출비중은 지난해 12월과 비교해 1.5%포인트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이 최근 미국 금리 인상에 대응해 양적완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됐다.
일본은 2012년 ‘아베노믹스’를 시행한 뒤에도 수출물량이 크게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으며 세계시장에서 우리나라와 일본의 수출경합도도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아베노믹스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실시한 경제정책으로 저성장, 저물가 상태에 빠진 일본경제에 대응하기 위해 ‘무제한 양적완화’와 ‘공격적 재정 지출’을 내세운 점이 핵심이다.
홍지상 한국무역협회 연구위원은 “5월 미국의 빅스텝(0.5%포인트) 금리 인상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며 “상반기 미국의 가파른 금리 인상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기업대출 완화 대책을 마련하고 해상운임 등 수출기업의 부대비용을 절감해 원가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다각적 지원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