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조선희, 서울문화재단 대표에서 물러나

이승용 기자 romancer@businesspost.co.kr 2016-05-12 16:11:20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조선희, 서울문화재단 대표에서 물러나  
▲ 조선희 서울문화재단 대표.

조선희 서울문화재단 대표가 서울시에 사의를 표명했다.

조 대표는 한겨레 창간멤버로서 '씨네21'의 초대편집장을 맡아 국내 문화예술계의 대표적인 여성 오피니언 리더로 손꼽혀온 인물이다.

12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시 산하 서울문화재단의 조선희 대표가 서울시에 사직서를 냈다.

서울문화재단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서울시장으로 재임하던 2004년 서울의 각종 문화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창립됐다. 서울문화재단은 창립 이후 서울연극센터와 신당창작아케이드, 금천예술공장과 남산예술센터, 연희문학창작촌 등을 개관했다.

조 대표는 2012년 3월 서울문화재단 대표에 임명됐다. 그는 임기 3년을 마치고 지난해 4월 연임에 성공해 임기가 2년가량 남아있었다.

조 대표는 “미뤄놨던 소설집필을 마무리하기 위해 그만두고 싶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조 대표는 에세이집 <정글에선 가끔 하이에나가 된다>, 장편소설 <열정과 불안>, 소설집 <햇빛 찬란한 나날> 등을 집필한 소설가이기도 하다.

조 대표는 1960년 생으로 강릉에서 태어나 강릉여고와 고려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했다. 그는 1982년 대학을 졸업하고 연합통신 기자로 활동하다 1988년 한겨레 창간멤버로 참여했다.

조 대표는 한겨레에서 문화부 기자로 활동하다 한겨레가 국내 최초의 영화주간지 ‘씨네21’을 창간할 때 이를 주도했다. 조 대표는 1995년부터 2000년까지 씨네21 초대편집장을 맡았다. 

조 대표는 2000년 20년 동안의 언론인 생활을 접고 소설가로 변신했다. 조 대표는 첫 에세이집 <정글에선 가끔 하이에나가 된다>를 통해 한겨레와 씨네21의 창간과정을 회고했다.

조 대표는 이후 2006년 한국영상자료원장에 임명되며 영화계에 다시 발을 들였다. 그는 한국영상자료원장 임기인 3년을 다 채우고 물러났는데 이는 당시 이명박 정부가 참여정부 때 임명된 인사들을 임기 도중 전부 물갈이했던 것과 대비돼 주목을 받았다.

조 대표는 이에 대해 “외압이 있었지만 유인촌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전부터 인연이 있었던 것이 임기를 지킬 수 있었던 결정적인 이유였다”고 말했다. 조 대표는 퇴임 직전까지 유 전 장관이 주재하는 문화부 산하 공공기관장 회의에 참석했다.

조 대표는 한국영상자료원장에서 물러난 뒤 잠시 소설가로 활동하다 2012년 2월 민주통합당 공천심사위원을 맡으며 정계에도 진출했다. 

조 대표는 한 달 후인 2012년 3월 박원순 서울시장으로부터 서울문화재단 대표로 임명됐다. 서울문화재단의 초대 대표는 유인촌 전 문화부장관이었고 안호상 국립극장장이 2대 대표, 조 대표가 3대 대표였다.

조 대표는 서울문화재단 수장으로서 돋보이는 성과를 냈다.

서울문화재단은 2012년 서울시 16개 투자출연기관 가운데 시민 만족도 1위를 차지했다. 또 같은 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으로부터 16개 광역문화지원센터가운데 서울문화재단의 서울문화예술교육센터가 가장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조 대표는 2013년 서울 원서동 공간사옥을 인수하며 문화재 가치보존에도 힘을 썼다.

원서동 공간사옥은 한국 건축 1세대를 대표하는 고 김수근(1931~1986) 건축가가 운영했던 건축사무소로 전문가들이 한국 최고의 현대건축물로 꼽았던 건물이다.

조 대표는 서울문화재단 대표에서 물러난 뒤 다시 집필활동에 전념할 것으로 보인다.

조 대표는 2000년 씨네21편집장을 그만두면서 첫 에세이집을 냈고 2009년 한국영상자료원 원장 임기를 마친 뒤에는 한국영화사에 획을 그은 고전작품과 감독, 배우들을 조명한 저서 <클래식중독>을 내놓았다.

조 대표는 “집필과정의 고독은 견디기 힘들어 내 적성과 안맞는다”면서도 “평생을 ‘글 쓰는 사람(writer)’으로서 정체성을 안고 갈 것”이라고 말해왔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승용 기자]

최신기사

하나증권 "KT밀리의서재 통신사 해킹 반사수혜, 밸류 리레이팅 구간"
"간암치료제 포기는 없다" 진양곤 3번째 도전, 내년 글로벌 신약 3개 이상 출시
[전국지표조사] D-12일, 호감도 이재명 46% 김문수 33% 이준석 27%
[전국지표조사] D-12일, 차기 대선 놓고 정권교체 55% vs 정권재창출 34%
[전국지표조사] D-12일, 당선가능성 이재명 67% 김문수 23%
비트코인 시세 올해 21만 달러로 상승 가능성, "기관 투자자가 강세장 주도"
한은 '지분형 모기지 사업' 출자 공식 부인, 차규근 "가계부채 자극 우려"
구리와 중국산 광물 공급부족 장기화 가능성, "배터리 가격 50% 상승" 전망
도봉역 삼환도봉아파트 993 가구로 재건축, 용적률 규제완화 첫 사례
이재명 주거·의료·돌봄 포괄한 기본사회 공약 발표, "기본 튼튼한 나라 만들 것"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