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금융  금융

삼성증권 2분기 순이익 급증, 자산관리와 기업금융 모두 호조

진선희 기자 sunnyday@businesspost.co.kr 2021-08-06 17:41:23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삼성증권이 자산관리와 기업금융 성장에 힘입어 2분기 순이익이 급증했다.

삼성증권은 2분기 별도기준으로 영업이익 3490억 원, 순이익 2561억 원을 달성했다고 6일 밝혔다.
 
삼성증권 2분기 순이익 급증, 자산관리와 기업금융 모두 호조
▲ 삼성증권 로고.

삼성증권 관계자는 "자산관리(WM)부문은 수익원 다변화로 실적 성장세를 지속했다"며 "기업금융(IB) 및 운용부문도 가파르게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자산관리부문 성장은 안정적 국내·외 수탁수수료 성장을 바탕으로 2020년 2분기와 비교해 14% 증가한 순수탁수수료가 이끌었다.

해외주식 예탁잔고도 15조 원을 돌파하며 지속성장의 기반을 마련했다.

금융상품 수익은 모든 상품 판매 호조로 2020년 2분기보다 134% 늘었다.

자산 1억 원 이상 고객 수 22만 명을 돌파했으며 리테일 고객 예탁자산은 2분기 7조 원가량 순유입되며 306조 원을 달성했다.

기업금융부문은 구조화금융의 성장을 바탕으로 2020년 2분기 대비 63% 성장했다. 

운용손익 및 금융수지는 파생결합증권 관련 손익 안정화로 2020년 2분기보다 78% 증가했다.

삼성증권은 2분기 연결기준으로는 영업이익 3563억 원, 순이익 2645억 원을 냈다. 2020년 2분기와 비교해 영업이익은 102%, 순이익은 101% 늘었다.

삼성증권은 상반기 연결기준 세전이익 7643억 원을 내며 2020년 전체 실적을 10% 이상 초과 달성했다.

이에 상반기 기준 1년으로 환산한 자기자본이익률(ROE)이 20.1%로 2020년 상반기 대비 14.2%포인트 상승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진선희 기자]

최신기사

중국 10월 철강 생산량 지난해보다 12% 감소, "과잉생산 여전해 수익도 악화"
김병훈 '1조 클럽'으로 시총 1위 위엄, 에이피알 글로벌 투자자 러브콜 기대감 고조
삼성E&A 에너지전환 사업 다변화 모색, 남궁홍 시장 본격화 더딘 점은 '부담'
[현장] 세계 첫 PBV 전용 공장 기아 '화성 이보 플랜트' 가보니, "카페야, 공장..
중국 배터리 성공 비결은 '한국기업 차별 정책' 분석, 현지 경쟁사에 반사이익
퇴임 앞둔 KT 김영섭 연말 임원인사 놓고 내부 찬반 '팽팽', "혼란 초래" vs "..
DB손보 3분기 누적 순이익 1조1999억으로 24% 줄어, 차보험 손해율 부담
택배노조 쿠팡 택배기사 '과로사' 진상조사 결과 발표, "격주 주5일제 적용되지 않아"
이재명 '금융계급제' 해결 의지, 가산금리 낮추는 '은행법 개정안'에 힘실려
K-배터리 '최후의 보루' 흔들리나, 미국 고급형 전기차 시장 사실상 소멸 위기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