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효 기자 kjihyo@businesspost.co.kr2020-12-09 17:12:42
확대축소
공유하기
석유공사가 동해 가스전을 다용도로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해 ‘1석3조’의 효과를 노리고 있다. 동해 가스전은 생산이 곧 종료된다.
석유공사는 석유개발사업에서 한계에 부딪히자 친환경에너지기업으로 변신을 꾀하며 새 먹거리를 발굴하고 있는데 동해 가스전을 활용해 풍력발전에 이어 탄소 포집저장사업까지 추진하면서 변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 양수영 한국석유공사 사장.
다만 탄소 포집저장사업의 특성상 단기간에 수익을 내기는 어려워 크게 악화한 석유공사의 재무상황 개선에 보탬이 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9일 석유공사에 따르면 2022년 6월 생산을 마치는 동해 1, 2가스전 해저의 빈 공간을 이산화탄소의 저장공간으로 활용하는 ‘탄소 포집저장사업(CSS)’을 추진하고 있다.
탄소 포집저장사업은 화석연료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이를 액체상태로 저장소에 저장하는 사업을 말한다.
2015년 파리기후협약 이후 세계적으로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해지면서 대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낮출 수 있는 방법으로 탄소 포집저장사업이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석유나 가스 생산이 완료돼 내부가 비어있는 지하공간에 포집된 온실가스를 주입하는 방법이 세계적으로 활용되고 있지만 아직 국내에서는 활용할 수 있는 마땅한 공간이 없어 적극적으로 추진되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 석유공사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조만간 생산을 마치는 동해 가스전을 대규모 탄소 포집저장 공간으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세운 것이다.
석유공사 관계자는 “국내에서는 실증을 추진할 만한 공간이 없어 나서는 사업자가 없었지만 장기적 비전을 보고 석유공사가 생산을 마치는 동해 가스전을 활용해 탄소 포집저장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동안 석유공사가 세계에서 석유를 시추하면서 얻은 기술 등을 이용해 탄소 포집저장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석유공사는 먼저 동해 가스전에 탄소 포집저장사업의 실증을 진행한 뒤 성공하면 앞으로 동해 가스전에 30년 동안 해마다 40만t, 모두 1200만t의 이산화탄소를 수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가 최근 내놓은 탄소중립 추진정책도 석유공사의 탄소 포집저장사업 추진에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7일 내놓은 ‘2050 탄소중립 실현 추진전략’을 살피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핵심 방안으로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이 꼽혔다.
정부는 2030년까지 탄소 포집 및 저장기술을 산업계에 적용할 수 있도록 단계별 개발 로드맵을 수립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뿐만 아니라 석유공사는 조만간 생산이 끝나는 동해 가스전을 활용해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을 설치하는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생산을 마친 해상 시설물을 활용해 풍력발전시설을 구축하기 때문에 자원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을 크게 들이지 않으면서 새 친환경에너지 발전소를 지을 수 있어 ‘일석이조’ 효과가 있다.
여기에 해저 빈 공간에 탄소 포집저장사업까지 더하면 ‘1석3조’ 효과를 보게 되는 셈이다.
다만 탄소 포집저장사업이 석유공사의 재무상태를 개선하는 데 보탬이 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탄소 포집저장사업의 특성상 탄소배출권 가격에 수익이 달려있기 때문이다.
탄소 포집저장사업은 온실가스 감축 의무가 있는 탄소 배출기업들에 탄소배출권을 판매해 수익을 얻는 구조다.
올해 탄소배출권 가격은 1t당 2~3만 원을 오르내리고 있다. 이를 기준으로 하면 석유공사가 연간 40만t의 이산화탄소를 수용해 벌어들일 수 있는 수익은 최대 120억 원에 그친다.
탄소 포집저장사업을 위해 들어가는 초기 비용이 5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 사업 초기에는 오히려 부담이 늘어날 공산이 크다.
하지만 탄소배출권 가격이 해마다 크게 오르고 있고 정부도 기업들의 온실가스 감축을 촉진하기 위해 탄소배출권의 가격을 높이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편할 것으로 예상돼 장기적으로는 석유공사의 실적에 보탬이 되는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석유공사는 이명박, 박근혜 정부에서 진행했던 무리한 해외자원 개발로 재무상황이 크게 악화된 뒤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
2019년 말 기준으로 석유공사 부채는 3415%가 넘었다. 올해 들어서는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상반기 기준 자본총계는 ‘마이너스(-)’ 5566억 원으로 자본잠식 상태로 돌아섰다.
석유공사 관계자는 “파리 협약 이후 점차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한 세계적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있어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한 기업들의 움직임이 더욱 활발해질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지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