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박용성 중앙대학교 이사장 |
중앙대가 고려대, 서울대, 연세대와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됐다. 좋은 일로 그렇게 된 게 아니다. 대학이 변질됐다며 대학운영을 비판하며 자퇴를 선언한 학생이 나왔기 때문이다. 고려대는 2010년, 서울대와 연세대는 2011년 이런 자퇴생을 배출했다. 이들은 변질된 대학의 가치를 비판하며 스스로 학교를 등졌다. 그로부터 3년이 지나 중앙대 철학과 대학생 김창인씨가 “대학에 더 이상 정의는 없다”며 자퇴선언을 했다.
김씨는 지난 7일 오후 중앙대 영신관 앞에서 자퇴선언문을 낭독했다. 김씨는 자퇴선언에서 대학을 경영하는 두산재단과 박용성 이사장을 비판했다. 김씨는 “나는 두산대학 1세대”라고 주장했다. 김씨는 두산그룹이 중앙대를 인수한 다음해인 2009년 중앙대에 입학했다.
김씨는 “‘사람이 미래다’라는 두산기업의 말처럼 내 자신의 미래를 만들어 가고 싶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두산재단과 함께 한 대학생활은 녹록치 않았다”고 돌이켰다. 김씨는 “박용성 이사장은 대학이 교육이 아닌 산업이라고 말했다”며 “불과 5년만에 그의 말은 실현되었다”고 말했다. 김씨는 “기업을 등에 업은 대학은 괴물”이라고 비판했다.
김씨는 2010년 중앙대의 구조조정에 항의해 한강대교 위에서 시위를 벌였다. 중앙대는 당시 단과대학을 18개에서 10개로 줄이고 학과를 77개에서 46개로 줄이는 통폐합을 실시했다. 김씨는 이후 학교로부터 3차례 징계를 받았다. 또 장학금도 환수되고 학생회장 피선거권도 박탈당했다.
김씨는 “대학을 바꿀 수 있다고 믿었다”며 “순진하게도 그것이 가능하다고 믿었다”고 아쉬워 했다. 그는 “대학에 더 이상 정의는 없다”고 지적했다. 또 그는 “이 대학에서 배운 것은 정의를 꿈꿀 수 없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자퇴가 “마지막 저항”이라며 “대학을 복원하기 위해 모두에게 지금보다 한걸음씩의 용기를 요구하는 재촉"이라고 주장했다.
두산그룹이 중앙대를 인수하고 박용성 이사장이 취임하면서 중앙대는 기업식 경영을 도입했다. 박 이사장은 총장 직선제를 폐지하고 교수 연봉제를 도입하는 등 마치 기업경영을 하듯 중앙대를 이끌었다. 이 과정에서 취업률이 낮은 학과를 통폐합하며 마찰을 빚기도 했다. 그러나 박 이사장은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을 만들어야 판매가 되듯 대학도 사회가 원하는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며 입장을 분명히 했다.
박 이사장은 취임 전에도 “이제 (대학이) 직업교육소라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취임 후 인터뷰에서 “솔직히 말하면 자본주의 논리가 어딜 가나 통한다는 걸 다시 한 번 느꼈다”며 기업식 경영에 만족감을 드러냈다.
박 이사장의 기업식 경영에 교수들도 반대 목소리를 냈다. 지난해 9월 교수 210명이 박 이사장의 대학운영에 반발하고 나섰다. 송수영 교수협 회장은 “대학이 합리적 설명없이 정책을 일방적으로 결정해 통보하고 있다”며 박 이사장의 대학운영을 비판했다.
김씨는 이날 “대학은 기업이 아니고 나 또한 상품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그의 마지막 외침을 담은 대자보는 학교측에 의해 하루만에 철거됐다. 떼어진 대자보에는 “학교에서 지시한 것”이란 문구가 선명하게 써 있었다.
<저작권자(c) 비즈니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김디모데 기자의 다른기사보기JW중외제약 이종호 '바보' 말 들으며 수액 전용공장 짓고, 아들 이경하 AI 접목 신약 개발 도전 |
JW홀딩스 배당 확대로 승계 시동 거나, 이경하 아들 이기환 경영수업 받고 지분 사들이고 |
JW중외제약 최고개발책임자로 유리천장 깬 함은경, 신약 개발과 CEO 가는 길은 하나 |
MBK 김병주 국감서 "홈플러스 매각 성사만이 살 길" "도와달라", 여당 "그동안 뭐.. |
국회 과방위 국감 여야 '욕설 문자 공방'으로 파행, 김우영·박정훈 충돌로 수차례 정회 |
국정자원 장애 시스템 10개 추가 복구, 전체 복구율 41.9% |
배민 김범석, 국감서 음식값 낮추는 최혜대우 요구 증거 제시에 "실수" 해명 |
신한투자 "CJ제일제당 3분기 실적 식품 선방 비식품 부진, 포트폴리오 정비 긍정적" |
BNK투자 "SAMG엔터 캐릭터 IP 확장성 돋보여, 지속적 외형성장 기대" |
코스피 한때 최고치 경신 뒤 3560선 하락 마감, 원/달러 환율 1431원 상승 |
농심 올해 미국서 실적 역성장 '더딘 걸음', 신동원 2030년 미국 매출 2조 목표 .. |
하나금융 비은행 전열 정비, 함영주 계열사 '자생력' '시너지' 기조 다잡는다 |
한화오션 거제사업장 특정 노조 지원 의혹 불거져, 사측 "진위 확인 안 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