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또 폭락했다. 1987년의 ‘블랙먼데이’ 이후 또 다시 블랙먼데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전날 기준금리를 1%포인트 인하하고 7천억 달러 규모의 양적 완화(QE)정책을 쏟아냈지만 코로나19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 앞에 백약이 무효한 모습이 나타났다.
16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2997.10포인트(12.93%) 떨어진 2만188.52에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2386.13과 6904.59로 각각 324.89포인트(11.98%), 970.29포인트(12.32%) 하락하며 거래를 마감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12일 이후 2거래일 만에 블랙먼데이 이후 최대 하락폭을 다시 갈아치웠다. 역사상으로는 두 번째다. 개장 직후 거래가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서킷브레이커’도 다시 발동됐다. 이달 들어서만 벌써 세 번째다.
나스닥지수는 역사상 최대 하락률을 보였다.
이에 앞서 연준은 3일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전격 인하한 데 이어 15일 1%포인트 인하하는 초강수를 뒀다. 이와 함께 7천억 원 달러 규모의 양적 완화 프로그램도 시작하기로 했다.
그러나 시장의 공포감은 가라앉기는커녕 오히려 확산됐다.
세계 최대 헤지펀드 브리지워터를 설립한 ‘헤지펀드의 대부’ 레이 달리오는 SNS를 통해 “연준으로서는 할 수 있는 것을 다 했다”면서 “이제는 연방정부의 재정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사설을 통해 “금리를 1.0%포인트 인하한 결정은 유용하지 않다”며 “돈값은 이미 싸다”고 지적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기자회견 발언이 낙폭을 더 키웠다는 분석도 나온다. 가뜩이나 공포감이 커지는 상황에 트럼프 대통령이 기름을 부었다는 것이다.
서상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미국과 유럽 각국에서 코로나19 확산 속도가 빨라지고 있이 공포심리를 자극한 데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며 “여기에 트럼프 대통령이 10명 이상의 모임금지 권고를 언급하고 8월까지 코로나19가 확산될 수 있으며 미국은 불황으로 향하고 있다고 말한 점도 공포심리를 자극했다”고 진단했다.
미국 제조업지수도 급락했다.
3월 뉴욕주 제조업지수는 전월(12.9)과 예상치(4.8)를 모두 크게 밑돈 –21.5였다. 세부항목을 보면 신규수주(-9.3), 고용지수(-1.5) 등 대부분이 하락했다.
유럽 증시도 폭락했다. 유럽 증시 주요 지수는 2012년 이후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16일 영국 런던증시의 FTSE100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10% 떨어진 5151.08로 장을 마감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증시의 DAX지수는 5.31% 하락한 8742.25, 프랑스 파리증시의 CAC40지수는 5.75% 내려간 3881.46으로 각각 거래를 끝냈다.
이탈리아의 이탤리40지수는 8.35% 떨어진 1428.9로 거래를 마쳤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