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OCI에 따르면 OCI는 카본케미칼부문의 안정적 수익성에 기대는 ‘이가 없으면 잇몸’의 인내기간이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OCI 관계자는 “카본케미칼부문도 태양광 폴리실리콘을 생산하던 베이직케미칼부문과 마찬가지로 업황에 영향을 받는다”면서도 “적어도 적자를 내지는 않는 사업이기에 사업구조를 재편하는 동안 버팀목이 돼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부회장은 OCI의 새 성장동력으로 반도체용 폴리실리콘과 전자급 과산화수소 등 반도체용 소재를 점찍었다. 두 사업이 발돋움하는 중기목표를 2022년으로 잡고 있다.
그러나 이 부회장이 제시하는 2022년 반도체용 폴리실리콘과 과산화수소의 생산목표는 군산 공장의 태양광 폴리실리콘사업 철수로 생긴 실적 공백을 메우기에는 한참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OCI의 태양광 폴리실리콘사업은 그동안 OCI 매출의 절반가량을 담당해 온 주력사업이다. 7만9천 톤의 생산능력에 기반을 두고 지난해는 매출 1조2109억 원을 냈는데 이 가운데 5만2천 톤이 사업 철수를 결정한 군산 공장의 생산물량이었다.
대신 이 부회장은 반도체용 폴리실리콘의 수익성에 주목했다. 현재 태양광 폴리실리콘 가격이 킬로그램당 7달러 초반에 머무르는 것과 달리 반도체용 폴리실리콘 가격은 킬로그램당 30~40달러 수준이다.
그러나 OCI의 2022년 반도체용 폴리실리콘 생산 목표치는 연 5천 톤에 불과하다. 이는 OCI의 반도체용 폴리실리콘사업이 2022년은 본격화하는 단계가 아니라 출발선에 서는 단계라는 뜻이기도 하다.
이에 앞서 21일 OCI는 포스코케미칼과 반도체 식각에 쓰이는 전자급 과산화수소 생산을 위해 49:51의 합작법인을 설립했다. 2022년 연 5만 톤 공장의 상업생산 시작이라는 목표를 세웠다. 그러나 이를 통한 기대 매출도 연 500억 원에 그친다.
두 신사업이 계획상 2022년에도 큰 매출을 내기는 어려운 만큼 과거 OCI를 이끌어왔던 태양광 폴리실리콘의 실적 공백을 메우기는 쉽지 않다.
이 부회장이 반도체용 소재사업으로 태양광 폴리실리콘사업의 빈자리를 메우는 데는 2022년을 넘어 더 긴 시간이 필요할 수밖에 없다.
이 부회장은 사업 재편에 걸리는 시간을 버티기 위해 카본소재(카본케미칼)사업이라는 ‘비빌 언덕’을 준비해 뒀다.
OCI의 카본소재사업은 제철 부산물로 발생하는 콜타르를 정제해 타이어의 주원료 카본블랙을 만드는 데 쓰이는 카본블랙오일이나 알루미늄 전극봉에 쓰이는 소재 핏치 등의 제품을 만든다.
이 부회장은 정제 콜타르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일찍부터 공을 들였다. 2016년 중국 마안산강철과 합작 법인 ‘마스틸OCI케미칼’을 설립하고 중국 안후이성에 연 35만 톤의 콜타르 정제설비를 준공했다.
OCI는 연 118만 톤의 콜타르 정제능력을 확보해 정제량 기준 글로벌 3위 회사에 올랐다.
이 부회장은 콜타르 정제뿐만 아니라 제품 생산능력을 키우는 데도 힘을 쏟았다.
OCI는 자체적으로 연 30만 톤의 카본블랙을 생산할뿐만 아니라 현대오일뱅크와 만든 합작법인 현대OCI를 통해서도 카본블랙을 연 10만 톤 생산한다. 현대OCI는 지난해 4분기 생산능력을 15만 톤으로 증설하는 작업을 마쳤다.
이런 노력으로 OCI의 카본케미칼부문은 전체 매출의 40%, 영업이익 1천억 원 안팎을 내는 안정적 부사업으로 안착했다.
이 부회장은 현재 추진하는 OCI의 신사업들이 모두 자리를 잡는 데 짧지 않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카본케미칼부문의 수익 창출력에 큰 기대를 걸 수밖에 없다.
다만 일각에서는 OCI 카본케미칼부문의 수익성을 염려하는 시선도 있다.
OCI 카본케미칼부문의 주력제품 카본블랙은 전방산업인 자동차산업의 업황 부진과 맞물려 수요가 줄고 있다. 실제 OCI 카본케미칼부문의 영업이익도 2018년 1300억 원에서 2019년 528억 원으로 쪼그라들었다.
OCI 관계자는 “폴리실리콘과 과산화수소에서 알 수 있듯이 OCI 사업구조 재편의 방향성은 고부가제품 생산”이라며 “카본케미칼부문에서도 더욱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을 만들 수 있는지 고민과 연구를 지속하고 있으며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