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현대차 노조)가 경주 월성원전에 고준위 핵폐기물 저장시설 설립을 막기 위해 조합원을 대상으로 서명운동을 벌이기로 했다.
현대차 노조는 31일 홈페이지에 올린 성명서에서 “울산시민과 조합원의 안전을 위협하는 고준위 핵폐기물 저장시설 건립을 막아내기 위해 노조가 앞장서겠다”며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과 함께 2월3일부터 고준위 핵폐기물 저장시설 건립을 저지하기 위한 조합원 서명운동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 이상수 전국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 지부장.
원자력안전위원회가 10일 경주 월성 원전에 맥스터(대용량 건식 조밀 저장시설) 7기 추가 건설을 승인한 데 따른 것이다.
노조는 월성원전 기준 방사선비상계획구역에 울산시민 101만 명이 거주하고 있는데도 정부가 정책 결정에 이들을 배제했다고 주장한다.
노조는 성명서에서 “산업부가 운영하는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 재검토위원회’는 울산시민을 배제한 채로 ‘월성원전 사용후핵연료 경주실행기구’를 출범했으며 주민의견 수렴도 경주시민만을 대상으로 진행할 것으로 알려진다”며 “이는 월성원전에 고준위 핵폐기물 저장시설을 짓기 위한 명분쌓기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은 원자력발전소에서 방사선관련 비상상황이나 재난이 발생했을 때의 피해 거리를 예상해 미리 대피소나 방호물품, 대피로 등을 준비해둔 지역을 말한다.
노조는 정부가 일방적으로 고리와 신고리, 원전 건설을 추진한 결과 울산시민이 전국 고준위 핵폐기물의 70%를 떠안게 됐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부의 핵폐기물 처리방식을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고 요구했다.
노조는 “고준위 핵폐기물을 영구처분장이나 중간 저장시설 없이 원전 안에 쌓아두는 게 타당한지 국민적 토론과 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