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효 기자 kjihyo@businesspost.co.kr2019-11-17 14:44:54
확대축소
공유하기
LG유플러스가 CJ헬로 인수 과정에서 알뜰폰 관련한 논란의 불씨가 재점화할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LG유플러스가 최근 연달아 알뜰폰 상생방안을 내놓은 것을 두고 CJ헬로 인수의 마지막 남은 절차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심사를 염두에 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 하현회 LG유플러스 대표이사 부회장.
17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알뜰폰사업자와 상생하기 위한 방안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전국 2200여 개 LG유플러스 직영매장에 알뜰폰 유심카드 전용 판매대를 설치했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이밖에도 LG유플러스와 상생협약을 맺은 12개 알뜰폰사업자를 위한 전용 홈페이지를 열고 알뜰폰 가입 고객을 대상으로 각종 이벤트를 진행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에 앞서 13일에는 알뜰폰사업자들이 저렴한 요금제를 설계할 수 있도록 150GB의 LTE 데이터를 한 달 동안 제공하는 대용량 LTE요금제를 내놓기도 했다.
LG유플러스가 잇따라 알뜰폰사업자와의 상생 방안을 내놓은 것을 두고 통신업계에서는 아직 남아있는 과기정통부의 CJ헬로 인수합병 심사를 의식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과기정통부의 심사에서 CJ헬로 인수와 관련해 공정거래위원회와 다른 해석이 나올 수 있는 여지가 있다는 것이다.
2016년 SK텔레콤이 CJ헬로 인수를 추진할 때 당시 공정위의 불허 결정으로 미래창조과학부(현재 과기정통부)의 심사는 진행되지 않았다.
하지만 당시 미래창조과학부는 SK텔레콤의 CJ헬로 인수를 두고 CJ헬로가 알뜰폰시장에서 시장의 경쟁을 촉진하는 1위 사업자인 ‘독행기업’이라는 이유를 들어 CJ헬로의 알뜰폰사업부문을 2년 안에 분리해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최근 LG유플러스의 CJ헬로 인수합병을 승인하면서 그동안 논란이 됐던 CJ헬로의 알뜰폰사업을 분리하는 조건을 걸지 않았다.
하지만 SK텔레콤과 KT는 여전히 CJ헬로가 알뜰폰시장의 독행기업인 3년 전과 같은 상황이라고 주장하며 과기정통부 심사에서 알뜰폰과 관련한 제재를 추가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통신업계의 한 관계자는 “CJ헬로가 여전히 알뜰폰시장 1위인 상황에서 그때와 달라진 것이 없다”며 “상황이 똑같은데 다른 결정을 내리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과기정통부가 LG유플러스의 CJ헬로 인수를 승인하면 알뜰폰시장 1위 사업자가 이동통신사 아래에 놓여 알뜰폰시장의 경쟁이 둔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알뜰폰시장을 활성화해 기존 이동통신사를 견제하려 하는 과기정통부의 방향과 맞지 않다는 것이다.
과기정통부는 점차 침제되고 있는 알뜰폰시장 활성화를 위해 9월 도매대가 인하, 알뜰폰사업자에게 5G통신 도매 제공 시작, 전파사용료 면제 연장 등을 담은 방안을 내놓기도 했다.
또 LG유플러스가 CJ헬로의 알뜰폰 사업까지 인수하는 것은 1개 통신사에 1개의 알뜰폰 사업자만을 두도록 하는 과기정통부의 정책기조와도 어긋난 것이어서 다른 통신사들의 반발을 불러올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
현재 LG유플러스는 자회사 미디어로그를 통해 알뜰폰사업을 펼치고 있다.
알뜰폰은 2012년 처음 출시된 뒤 가입자 수가 점점 늘어 2016년 122만7천 명의 가입자를 확보하며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의 약 17%를 차지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 가입자 수가 지속적으로 줄어 2019년 9월 기준 66만3천 명에 불과하다.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 수의 5.3% 수준이다.
LG유플러스는 부정적 여론을 의식해 9월24일 12개 중소 알뜰폰 사업자와 협력을 하겠다는 방안을 내놓고 ‘U+MVNO 파트너스’를 출범했다. 이때도 공정위의 CJ헬로 인수 관련 심사를 의식한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었다.
통신업계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18일부터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를 꾸려 LG유플러스의 CJ헬로 인수와 관련한 심사를 진행한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지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