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주52시간근무제가 통과된 국회 본회의에서) 저도 투표를 했는데 반성하고 있다"며 "국회에서 심도 깊은 논의를 했었어야 하고 통과시키면서 예외규정을 뒀었어야 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연구개발 분야와 제조업에 주52시간근무제 예외규정을 둬야 한다고 바라봤다.
박 장관은 "특히 연구개발 분야에서 8시간을 지켜서 할 수 없는 연구들이 많이 있다"며 "창조적 일을 많이 하는 분야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8시간씩 근무할 수 없는 상황에서 예외규정을 두지 못한 데 관해 저는 '경직됐다'는 표현을 썼다"고 말했다.
그는 "실질적으로 주52시간제가 문제가 된 부분은 제조업"이라며 "주52시간에 맞추려면 3교대로 바꿔야 하는데 사람을 뽑은 만큼 물량과 주문이 들어오면 문제가 안 되지만 (그렇지 않으면) 어정쩡한 상황이 벌어진다"고 설명했다.
노동자 실질임금이 감소될 수 있다는 지적에도 공감했다.
박 장관은 "노동자 입장에서는 주52시간근무제가 돼서 좋다고 생각하지만 주52시간 근무때문에 월급이 줄어드는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며 "(근로시간이 줄어) 좋기는 한데 주머니 사정이 넉넉하지 않아지니까 이것에 관해 좀 아쉽게 생각하는 부분들을 어떻게 해소시켜 줄 수 있느냐의 문제"라고 말했다.
제조업 분야에서 주 52시간근무제 도입 부작용의 대안으로는 스마트공장 확산을 꼽았다.
박 장관은 "중기부가 스마트공장 정책을 하는 이유가 두 가지인데 하나는 4차 산업혁명의 신산업과 신기술에 적응하기 위한 것"이라며 "둘째는 2번 교대 근무하는 것을 3번으로 바꿔야 하는데 인력 뽑기는 힘들고 이것을 무엇으로 대체해야 할 것인가 있어 스마트공장을 도입하면 3번 근무할 만큼의 인력수요는 덜 필요한 곳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스마트공장이 선진국에 비해 늦게 시작된 만큼 보급 확산과 선진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과 독일 등 선진국은 2000년대 초부터 스마트공장을 시작해 상당 부분 진척이 됐지만 우리는 2014년에 입안해 2015년 처음 시작한 만큼 선진국에 비해 약 10년 정도 늦게 가고 있는 것"이라며 "이것을 따라잡기 위해 중기부에서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과 레벨 업그레이드사업에 매진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종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