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B하나은행이 파생결합증권(DLS)상품과 관련한 손실이 확정되자 소송전에 휘말릴 가능성에 직면하는 등 궁지에 몰리고 있다.
23일 은행권 관계자의 말을 종합하면 25일 만기가 돌아오는 일부 파생결합증권 상품의 손실이 확정되면서 하나은행을 상대로 하는 소송전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개인투자자 두 명과 법인 고객 한 명이 법무법인 로고스를 통해 하나은행을 상대로 소송을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나은행은 그동안 대부분 상품의 만기가 한참 남은 데다 금리가 반등할 가능성이 충분하다며 우리은행과 선을 그어왔지만 일부 상품의 손실이 확정되자 ‘발등의 불’이 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번에 손실이 난 상품은 미국 이자율스와프(CMS) 5년물 금리와 영국 이자율스와프(CMS) 7년물 금리를 기초자산으로 한다. 금리결정시점은 20일로 기준시점 대비 금리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하락하면 손실이 나는 구조다.
올해 말까지 영국과 미국 등 선진국 금리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는 시각이 우세한 점도 하나은행으로서는 부담이다.
20일 손실이 확정된 상품규모는 10억 원가량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올해 말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하나은행의 상품규모는 492억 원에 이른다. 하반기에 금리가 추가로 떨어진다면 손실이 나는 상품규모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윤여삼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9월 초부터 미국과 독일 금리가 각각 1.90%, -0.44%까지 올랐지만 추세적 반등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며 “금리추세는 실물경기 반등 가능성이 중요한데 아직까지 유의미한 신호를 찾지 못했다”고 말했다.
경제개발협력기구(OECD)는 최근 유로존의 2020년 경제성장률을 기존 1.4%에서 1.0%까지 낮춰잡았다. 영국의 경기 불확실성 역시 해소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지성규 하나은행장은 파생결합증권 사후관리전담반을 만들어 고객들과 합의를 꾀하는 동시에 법무법인 김앤장을 선임하는 등 대책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7월부터 박세걸 하나은행 자문관리(WM)사업단 전무를 중심으로 투자상품부장, 프라이빗뱅킹(PB)상품부장 등 실무진 10명이 머리를 맞대 사후관리에 힘쓰고 있다.
10월 국정감사에서 파생결합증권 손실이 다뤄질 가능성도 높아 하나은행을 둘러싼 여론을 직접 맞닥뜨려야 하는 부담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 의원들은 이번 사건과 관련해 문제가 되고 있는 은행장을 증인으로 세워야한다고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파생결합상품 사태와 관련한 국정감사의 수위를 높이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은행권 관계자는 “하나은행은 논란이 된 상품의 만기가 꾸준히 다가오고 있는 만큼 내부적, 외부적으로도 철저히 대응방안을 마련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