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소비자·유통

오뚜기, 이물질 논란 계속 나오지만 마땅한 대응책 없어 '난감'

장은파 기자 jep@businesspost.co.kr 2019-02-15 17:22:28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오뚜기가 잇따른 이물질 논란에 대응하느라 고심하고 있다.

15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 달 사이에 오뚜기 제품에서 이물질이 나왔다는 논란이 3건이나 불거졌다.
 
오뚜기, 이물질 논란 계속 나오지만 마땅한 대응책 없어 '난감'
▲ 오뚜기 로고.

14일에는 제주시 한 대형마트에서 판매된 오뚜기 즉석밥에서 곰팡이가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12일에는 오뚜기 진라면 컵라면 제품에서 벌레가 나왔다는 한 보도가 있었다.

소비자가 경기도의 한 편의점에서 컵라면을 구매해 먹는 도중에 벌레를 발견해 오뚜기 소비자고객센터에 신고했다. 
 
1월25일에는 오뚜기의 라면제품인 ‘진짜쫄면’에서 흰 면장갑이 나와 평택시에서 진상조사를 벌이고 있다.

식품회사는 식품 안전이나 위생 등이 기업 이미지를 가르는 핵심적 요소다. 소비자 신뢰를 지키려면 문제가 발생했을 때 재빠르고 정확하게 대응해야 한다.

오뚜기는 진짜쫄면 제품에서 이물질이 나왔다는 논란에는 자체적으로 원인을 규명하는 데 집중하고 있지만 다른 두 사건에는 별도의 대응을 할 수 없는 곤란한 상황에 놓여 있다.

오뚜기는 그동안 '착한기업' 이미지로 소비자 홍보효과를 톡톡히 누렸지만 이물질 논란에 대응하지 못한다면 이런 이미지에 금이 갈 수도 있다.

진라면에서 벌레가 나왔다고 제보한 고객은 이를 소비자 고객센터에 신고했지만 해당 제품을 폐기해버려 오뚜기가 원인을 찾을 수 없다.

즉석밥에서 곰팡이가 나왔다는 논란은 소비자가 오뚜기나 소비자고객센터가 아닌 언론사에 제보하면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오뚜기는 해당 소비자가 누구인지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 해당제품이 어떻게 보관, 유통됐는지 파악하는 데 애를 먹고 있다.

원인 규명을 하기 힘든 상황에서 오뚜기가 사과문을 발표하는 방법도 취할 수 없다. 자칫 오뚜기 자체 문제가 아닌데도 잘못을 인정했다가 소비자 신뢰를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오뚜기 관계자는 “이물이 발견되면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해당 제품이 있어야 한다”면서 “진상을 규명할 수 없어 난감하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이런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조과정뿐 아니라 유통과정까지 더욱 철저히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은파 기자]

최신기사

국힘 '조희대·한덕수 회동 의혹' 비판, 한동훈 "청담동 술자리 공작2"
KT 추가 불법 기지국 2개 확인, 소액결제 피해자 362명 피해액 2억4천만 원
미국 금리인하에도 가상화폐 시장 조용, 비트코인 '연말 랠리' 기대감은 유효
조지아주 청장 "우리는 한국에 의지하고 있다", 현대차-LG엔솔 노동자 복귀 '읍소'
중국 정부 엔비디아 AI칩 금지령, 삼성전자·SK하이닉스 'GDDR7 중국 특수' 물거..
"미국 한국인 구금 사태 뒤 관계 회복 급선무" 분석, 배터리 전문인력 태부족
[현장] 국회 해상풍력 토론회, "2035년 감축목표 달성하려면 300조 투자 필요"
G마켓-알리바바 합작법인 공식 출범, 공정위 '고객 정보 공유 금지' 조건부 승인
인천공항공사 자회사 노조 파업 대비 총력대응체계 구축, 정상운영 추진
김건희 특검 한학자 통일교 총재 구속영장 청구, "증거 인멸 우려"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