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광주시에 따르면 이 시장은 2019년의 주요 정책목표로 광주형 일자리의 성사를 꼽으면서 현대차와 협상을 재개할 준비를 하고 있다.
현대차와 노동계의 이견을 조율하는 투자협상팀 단장으로서 협상팀의 구성과 기능을 보완해 양쪽의 합의를 끌어낼 대안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이 시장은 신년사에서 “광주형 일자리 모델의 첫 사업인 (현대차) 완성차공장의 투자 유치에 반드시 성공하겠다”고 다짐했다.
광주시 관계자도 “현대차와 공식 협상이 조만간 다시 열릴 것”이라며 “이 시장이 투자협상팀 단장으로서 광주형 일자리를 반드시 성사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형 일자리는 기업에서 비교적 낮은 임금을 노동자에게 주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복리후생 등을 지원해 보완하는 사회통합형 일자리를 말한다.
광주시와 현대차는 광주형 일자리를 적용한 완성차공장의 도입을 논의해 왔지만 단체협약 교섭의 유예 여부를 놓고 현대차와 지역 노동계의 의견이 엇갈리면서 합의가 결국 무산됐다.
2018년 12월 초에 합의가 무산된 뒤 광주시와 현대차 사이에서 공식 논의가 진행되지 않으면서 광주형 일자리의 도입 협상이 장기간 표류할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2019년 들어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와 더불어민주당 인사들이 광주형 일자리의 도입을 추진할 의지를 잇달아 보이면서 광주시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문 대통령은 2일 정부 신년회에서 “광주형 일자리는 우리 사회가 사회적 대타협을 통해 상생형 일자리의 모델을 만들 수 있을지 가늠하는 척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신년회에 참석한 정의선 현대차그룹 총괄 수석부회장 앞에서 기업, 노동자, 지방자치단체, 정부가 사회적으로 대타협해야 할 예시로서 광주형 일자리를 들기도 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일 “광주형 일자리의 일반 모델을 올해 설정해 전국 몇 군데에서 시범 적용하려 한다”고 말했다.
2019년도 정부 예산에 광주 빛고을산업단지의 진입도로 개설 등 광주형 일자리와 관련된 예산 20억 원이 미리 책정되기도 했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2019년에 사회현장과 소통을 늘릴 계획을 내놓으면서 “광주형 일자리 등의 해결방안을 사회적 대화와 타협을 통해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시는 이런 정부와 여당의 지지를 다가오는 협상의 동력으로 삼을 수 있게 됐다. 다만 단체협약 교섭의 유예 문제와 관련해 어떤 대안을 내놓을 수 있을지는 여전히 변수로 남아있다.
현대차는 수익성을 생각하면 단체협약 교섭을 반드시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는 태도를 지키고 있다. 반면 지역 노동계는 단체협약 교섭의 유예는 헌법상 가치를 침해할 수 있는 데다 상생이라는 취지에도 맞지 않는다고 맞서고 있다.
이와 관련해 광주시 관계자는 “현재 논의되는 내용을 상세하게 공개할 수 없다”면서도 “문 대통령 등이 이야기한 대로 광주형 일자리는 단순한 지역 문제가 아니라 우리 경제의 기반을 바꾸는 사업인 만큼 기대에 걸맞은 결과를 낼 수 있도록 협상에 더욱 진력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