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2025금융포럼
정치·사회  정치

의혹 쏟아지는 최성준 방통위원장 후보

강우민 기자 wmk@businesspost.co.kr 2014-03-31 15:00:13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최성준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가 다음달 1일 국회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새정치민주연합이 세금탈루와 부동산투기 등의 의혹을 제기했다.

  의혹 쏟아지는 최성준 방통위원장 후보  
▲ 최성준 방송통신위원장 후보
새정치민주연합 강동원 의원은 31일 보도자료를 내 최성준 후보자의 장녀에 대한 변칙증여 가능성을 제기했다.

강 의원에 따르면 최 후보자가 국회 인사청문 요청서류로 제출한 '공직후보자 재산공개 확인서'를 보면 특허법원 부장판사 시절이던 2005년 최초로 등록재산이 공개됐다. 당시 최 후보자는 장녀 예금을 7104만 원으로 신고했고 이후 2009년 7784만 원, 2010년 9702만 원으로 신고했다. 매년 1천만 원 이상의 예금이 증가한 것이다.

강 의원은 "대학 1학년 때부터 매년 1천만 원 이상의 예금이 늘면서 9년 동안 장녀의 예금이 무려 2배 가량 증가했다"며 "19886년생인 장녀는 대학졸업 후 소득이 없는 고시준비생인데도 재산이 1억4천여 만 원에 이르는데 이런 거액예금은 변칙증여 가능성이 짙다“고 말했다.

유승희 민주당 의원도 보도자료에서 최 후보자의 부동산 투기의혹을 제기했다. 유 의원에 따르면 최 후보자는 안산과 아무런 연고가 없는데도 안산~금정 지하철 4호선이 착공될 당시인 1986년 안산에 있는 대지를 동생과 함께 매입해 2010년 팔았다. 당시 최 후보자는 3억8천만 원에 대지를 팔아 최 후보자 지분에 해당하는 1억9천만 원을 받았는데, 약 5배에 이르는 시세차익을 남겼다.

유 의원은 "최 후보자가 건물을 지어 노후대비를 위해 매매했다고 하지만 한대앞역~상록수역과 같은 번화가에서 노후를 보낸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며 "최 후보자가 지하철 연장 호재를 노리고 부동산 투기를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있다"고 말했다.

임수경 의원도 보도자료에서 세금탈루 의혹을 제기했다. 임 의원에 따르면 최 후보자가 2005년부터 현재까지 부동산 임대소득, 사업소득 등에 대한 세금 278만8천원과 인적 및 의료비 공제에서 제외된 353만3천원 등 총 632만1천원을 3월 18·24·26일 등 세차례에 걸쳐 납부했다.

임 의원은 "최 후보자가 수년 전 종합소득세를 불과 10여 일 전부터 신고하고 납부한 탓에 자녀의 증여세 탈루 의혹과 더불어 본인의 세금 탈루 의혹까지 사고 있다“며 ”판사 출신으로서 부적절한 처신이 있었던 것 아니냐"고 말했다.

최민희 의원도 보도자료에서 "최 후보자가 춘천지방법원장으로 재직하던 2012년 2월부터 올해 2월까지의 관용차량 고속도로 하이패스 통행기록을 분석한 결과 최 후보자가 모두 28번에 걸쳐 관용차량을 공휴일에 사용했다"며 "이 중 26번은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최 의원은 "춘천지법원장에 재직하던 시절 사용한 유류비가 총 1800만 원에 달하며 이를 환산한 결과(ℓ당 2천 원/연비7㎞ 기준) 최소한 6만4천㎞ 이상을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관사에 살았던 후보자가 이렇게 많은 거리를 이동한 이유에 대해 납득할 만한 설명이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는 다음달 1일 열린다.

최신기사

다올투자증권 "오리온 베트남 매출액 감소, 중국이 더 반등해줘야"
'AI 버블'이 미국 경기침체 방어막 역할, "주식으로 돈 벌어 소비 위축 막았다"
개인정보위 정보유출 과징금 기금화 추진 탄력, 송경희 정보보호 정책 컨트롤타워로 위상 ..
[오늘의 주목주] '호실적 발표' HD현대일렉트릭 8%대 상승, 코스닥 심텍 15%대 올라
다올투자증권 "롯데웰푸드 내년 카카오 원가 부담 미미, 턴어라운드 가시권"
대우건설 매출 축소에도 수익성 개선은 지속, 김보현 '내실경영' 열매 맺는다
2차전지 주가 회복에 ETF도 훨훨, 수익률은 '에코프로' 비중 따라 크게 갈려
SK하이닉스·삼성전자 차세대 DDR5 D램서도 선두 경쟁, 2026년 본격 출시 전망
삼성전자 D램 증설 시간문제라는데, 원익IPS 하나마이크론 테크윙 수혜 기대
KCC건설 광역시 도시정비 꿈틀, 공공 공사에 민간 수주 더해 수익성 개선 탄력 붙일까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