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협력이익 공유제의 모범사례로 꼽히고 있다.
포스코는 협력이익 공유제와 비슷한 취지인 성과 공유제를 국내 최초로 도입했고 지금도 가장 적극적으로 이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19일 중소벤처기업부의 ‘연도별 성과 공유제 도입기업 현황’에 따르면 올해 5월 말 기준으로 311개사가 성과 공유제를 운영 중이다.
5500개 중소기업이 성과 공유제의 수혜를 보는데 포스코는 여기서 두드러진 성과를 내고 있다.
성과 공유제 도입 기업들이 등록한 협력과제의 추진 건수를 분석한 결과 2012년부터 2018년 5월 말까지 포스코는 성과 공유과제가 1852개로 가장 많았다. 그 뒤를 따르는 삼성전자(776건)의 2배를 넘는다.
이 가운데 확인된 과제 기준으로 봐도 포스코는 1155건으로 1위를 지켰다. 삼성전자는 2위로 528건이었다.
15년 동안 포스코는 성과 공유제를 통해 중소 협력업체와 모두 4656건의 과제를 수행했고 과제 수행 성과로 보상한 금액은 3531억 원에 이른다.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최근 협력이익 공유제의 필요성을 말하면서 “포스코처럼 이익을 공유하는 기업을 확산해야 한다"고 포스코를 예로 들기도 했다.
포스코가 이익 공유와 관련해 '칭찬'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홍석우 전 지식경재부 장관 역시 2016년 포스코를 직접 찾아 "포스코의 성과 공유 사례는 다른 대기업들에게 귀감이 된다"고 말했다.
협력이익 공유제를 설명하면서도 정부는 포스코건설의 사례를 자주 들고 있다. 포스코건설은 2009년 광양 페로니켈공장을 신설하면서 공사 기간의 단축에 성공해 발주자로부터 지급받은 인센티브 36억 원 가운데 21억 원을 협력사와 공유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포스코가 성과 공유제를 제일 먼저 도입했고 또 잘하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고 말했다.
포스코는 협력이익 공유제와 비슷한 취지인 성과 공유제를 2004년 국내에서 가장 먼저 시작했다. 이후 다른 대기업들이 동참하면서 현재는 삼성그룹과 LG그룹 등 국내 주요 그룹사 대부분이 성과 공유제를 시행하고 있다.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은 2011년 성과 공유제를 포스코의 동반성장 대표 브랜드로 규정하기도 했다.
포스코는 정부와 협력해 2009년부터 '민관 공동투자 기술개발사업'도 운영하고 있다. 포스코가 기금을 조성해서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과제 개발비를 현금으로 지원하고 개발에 성공하면 일정 기간 제품 구매를 보장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그동안 정부와 공동으로 집행한 연구개발 자원금액은 155억 원이며 중소 협력사가 기술 개발에 성공한 제품을 포스코가 구매한 대금은 634억 원 규모다.
대전에 있는 ‘한스코’는 포스코의 민관 공동투자 기술 개발사업을 통해서 세계 최고 수준의 '메탈베어링' 기술력을 보유하게 된 대표적 기업으로 꼽힌다. 메탈베어링은 베어링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베어링 구멍에 끼우는 원통형의 합금 부품이다.
한스코는 민관 공동투자 기술 개발사업을 통해 메탈베어링 연구를 진행해 국산화에 성공했다. 이 덕분에 포스코도 안정적 메탈베어링 공급처를 확보했을뿐 아니라 구매비용을 절감해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도 얻었다.
다만 정부가 현재 추진하고 있는 협력이익 공유제는 성과공유제와 다소 차이가 있다. 무엇을 성과로 볼지, 분배를 어떤 방식으로 할지가 다르다.
성과 공유제는 원가 절감이나 품질 향상을 비롯한 모든 형태의 협력활동을 성과로 본다. 반면 협력이익 공유제는 매출, 영업이익 등 재무적 성과만 인정한다.
성과를 나누는 방식에서도 성과 공유제는 대기업이 납품 물량을 늘려주는 방식으로 성과를 공유해도 되지만 협력이익 공유제는 오로지 현금 배분을 통해서만 이익을 공유해야 한다. 재계가 협력이익 공유제에 반발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정부는 협력이익 공유제에 인센티브를 주는 법안을 국회에서 연내 통과시켜 내년 상반기부터 시행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재계 설득에 공을 들이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대기업들이 협력할지가 관건으로 전망되는데 포스코가 어떤 위치에 설지도 주목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