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과산업  중공업·조선·철강

현대중공업 최악의 경영상황, 권오갑 탈출방법 있나

장윤경 기자 strangebride@businesspost.co.kr 2015-02-12 18:56:47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권오갑 현대중공업 사장이 지난해 적자가 3조 원이 넘는 암담한 경영성적을 내놓았다.

권 사장은 다만 지난해 4분기의 경우 영업손실을 3분기에 비해 크게 줄여 실낱같은 희망을 품게 했다. 권 사장이 취임한 뒤 추진하고 있는 경영정상화 노력이 조금씩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현대중공업 최악의 경영상황, 권오갑 탈출방법 있나  
▲ 권오갑 현대중공업 사장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영업손실 3조2495억 원을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지난해 매출은 52조5824억 원으로 전년 대비 3% 감소했다. 당기순손실 2조2061억 원을 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모두 적자로 전환했다.

현대중공업의 적자는 제조업에서도 유례가 없는 규모다. 공기업을 제외한 민간기업으로서 현대중공업의 적자 규모는 가장 큰 사례로 꼽힌다.

현대중공업은 글로벌 조선업의 불황으로 발주가 줄어 큰 타격을 입었다. 또 저가수주와 공기지연 등의 악재도 겹쳤다.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4분기에 223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이는 직전분기에 비하면 적자폭이 75% 가량 감소한 것이다. 현대중공업의 지난해 3분기 영업손실은 1조9346억 원이었다.

4분기 매출은 13조8461억 원으로 직전분기보다 11.6% 증가했다. 당기순손실은 379억 원으로 97.4% 감소했다.

현대중공업은 “조업일수가 늘고 대형 프로젝트 공사가 본격화하면서 매출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해양부문에서 발주사와 계약변경에 합의한 점도 적자폭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됐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4분기에 공사손실충당금이 추가로 발생하지 않는 등 불확실성이 제거됐다”며 “앞으로 경영체질 개선과 원가절감 노력, 수익성 위주의 선별수주 정책 등을 지속적으로 펼쳐 실적개선을 이루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윤경 기자]

인기기사

‘무빙’ 다음 뭐 볼까, 넷플릭스 디즈니+ 웨이브 기대작 이번 주 맞붙는다 윤인선 기자
HD한국조선해양 카타르 훈풍에 고가 일감 가득, 정기선 환경규제 대응도 자신 류근영 기자
킨텍스 제3전시장 발주 가시화, '6천억' 공사에 대형 건설사 총출동 전망 류수재 기자
삼성전자는 '인간형 로봇’ LG전자는 ‘서빙·물류로봇’, 로봇사업 다른 길 이유 조장우 기자
삼성전자 갤럭시S24 울트라 원가 부담 커진다, 노태문 가격 경쟁력 유지 총력 김바램 기자
강동원 등에 업고 손익분기점 노리는 ‘천박사’, CJENM 고민 여전히 깊은 이유 윤인선 기자
이재용 중동 3개국 현장 방문, “중동은 삼성 미래 먹거리와 기술 발휘의 보고” 김바램 기자
LG엔솔 유럽 입지 '단단', EU의 중국 견제 더해져 비중국 세계1위 '청신호' 류근영 기자
SM엔터테인먼트 라이즈로 보이그룹 명가 증명, 올해 사상 첫 매출 1조 기대 조충희 기자
LG전자 499만 원짜리 폴더블 노트북 출시, 휴대성 좋지만 흥행 전망 엇갈려 김바램 기자
비즈니스피플배너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