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령인구가 사상 처음 14%를 넘어서면서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생산연령인구도 처음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17년 인구주택총조사'의 전수 집계 결과를 보면 국내 거주하는 총 인구는 외국인을 포함해 5142만3천 명으로 2016년 5127만 명과 비교해 15만3천 명(0.3%) 증가했다.
하지만 15세~64세 생산연령인구는 3620만 명(72.5%)으로 1년 사이 3631만 명에서 11만 명가량 감소했다.
특히 14세 이하 유소년 인구는 1년 사이 677만 명에서 14만 명이 줄어 663만 명(13.3%)에 그쳤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712만 명으로 34만 명 늘었고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6년 13.6%에서 14.2%로 0.6%포인트 증가했다.
100세 이상 인구도 3908명으로 전년 3486명에 비해 12.1%(422명) 늘었다.
유엔은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7%를 넘으면 고령화사회, 14%를 넘으면 고령사회로 정의한다.
시도별 고령인구 비율은 전남(22.0%)이 가장 높고, 경북(19.0%), 전북(19.0%), 강원(18.0%) 순으로 나타났다. 전국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고령인구 비율이 감소한 세종(9.3%)이 가장 낮았다.
성별로 보면 남자 2576만8천 명, 여자 2565만4천 명으로 2016년과 비교해 남자는 0.3%, 여자는 0.3% 각각 증가했다.
또 내국인은 4994만3천 명, 외국인은 147만9천 명으로 2016년과 비교해 내국인은 0.2%, 외국인은 4.6% 증가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