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5일 대한항공에 공개서한을 보내 “대한항공 입장과 그 입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자료, 대한항공을 대표할 수 있는 경영진 및 사외이사와 비공개 면담 등을 요청한다”며 “15일까지 답변하라”고 요구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이날 안에 국민연금에 답변을 보낼 것”이라면서도 “답변 내용은 밝히기 어렵다”고 말했다.
대한항공 측 답변에는 경영 쇄신안은 물론 경영권 유지 등을 놓고 조 회장의 의사를 가늠할 만한 내용이 담겼을 것으로 보인다.
국민연금 의결권행사전문위원회는 5일 “한진그룹 관련 여러 불법 혐의에 조사가 이어지고 국민의 우려가 가라앉지 않는 일련의 상황을 보면서 국민의 자산을 안정적으로 지키기 위해 실효성 있는 대책과 예측 가능한 계획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며 “한진그룹 측에 경영관리체계 개선 등을 포함해 문제 해결을 위해 더욱 효과적 대책을 마련해 줄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국민연금이 7월부터 주주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하고 나설 공산이 큰 만큼 조 회장은 갈수록 결단해야 하는 시점으로 내몰리고 있다.
국민연금은 7월 ‘스튜어드십코드’ 도입에 발맞춰 투자목적을 ‘단순 투자’에서 ‘경영 참여’로 넓히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앞으로 한진그룹 오너일가를 이사에서 해임하거나 새 사외이사 추천하는 등 방안을 추진할 수도 있다고 재계는 바라보고 있다.
조 회장은 한진그룹 오너일가의 갑횡포와 비리 의혹을 놓고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
검찰 등 정부기관이 지속적으로 수사하고 있는 만큼 구체적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무언의 방어권’을 행사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부의 재벌개혁 기조는 더욱 굳어지고 있어 조 회장의 이런 대응법은 약효를 내기는 어려워 보인다.
6.13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이 압승을 거두면서 정부가 재벌개혁 기조를 한층 강화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은 15일 MBC라디오 이범의 시선집중에 나와 “한진그룹은 일감 몰아주기 말고도 여러 위반 혐의들이 있다”며 “비교적 빨리 결과를 낼 수 있는 사안도 있어 그 부분은 이른 시일 안에 조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