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중공업·조선·철강

조선3사, 후판 가격 올라 초대형 원유운반선에서 손해 불가피

이지혜 기자 wisdom@businesspost.co.kr 2018-06-14 11:57:48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조선3사가 원가 상승 탓에 초대형 원유운반선을 건조할수록 손해를 볼 수 있다.

정동익 KB증권 연구원은 14일 “조선3사가 2017년 이후에 수주한 초대형 원유운반선은 후판 등 원자재 가격이 올라 대부분 건조시점에 적자를 낼 가능성이 높다”며 “후판 가격이 오른 것은 조선사가 선박 가격을 인상할 명분이 되지만 지금처럼 선박의 공급 과잉상태에서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조선3사, 후판 가격 올라 초대형 원유운반선에서 손해 불가피
▲ (왼쪽부터)강환구 현대중공업 대표이사 사장,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대표이사 사장, 남준우 삼성중공업 대표이사 사장.

초대형 원유운반선은 조선3사가 수주에 주력하는 선박 종류인데 이 부문의 수익성이 나쁘면 조선3사의 실적도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조선3사의 수주잔고에서 초대형 원유운반선 비중은 10~20% 정도인 것으로 파악된다. 

후판은 두께 6mm 이상의 두꺼운 철판을 말하는데 선박용 철강재로 주로 쓰인다. 초대형 원유운반선은 척당 4만4천 톤 정도 쓰기 때문에 후판 가격이 톤당 1만 원만 올라도 원가 부담이 4억4천만 원 늘어난다. 

한국과 중국, 일본의 평균 후판 가격은 2015년 말 톤당 430달러였지만 올해 5월 703달러까지 올랐다. 이런 흐름에 따라 한국 조선사와 철강회사들도 지난해 하반기와 올해 상반기 두 차례나 후판 가격을 인상하기로 합의했다. 

KB증권은 후판 가격 상승에 따라 조선3사의 초대형 원유운반선 원가가 2016년보다 87억 원 더 늘어났다고 파악했다. 같은 기간 초대형 원유운반선의 가격은 원화 기준으로 51억 원 정도 떨어졌다. 

이 때문에 정 연구원은 후판 가격이 앞으로 더 오르지 않고 조선3사가 희망퇴직, 순환휴직 등으로 인건비뿐 아니라 판매관리비를 더 줄인다고 해도 초대형 원유운반선에서 척당 58억 원의 적자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했다. 

정 연구원은 “조선3사가 원자재 가격이 오른 만큼 선박 가격을 올리기 위해 애쓰고 있지만 선박 발주가 많지 않아 조선사의 수주 협상능력이 강한 상황은 아니다”며 “올해 하반기 조선3사가 원가 인상분 만큼 선박가격을 올려받을 수 있을지 여부가 조선업황 회복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

최신기사

비트코인 1억4460만 원대, 미국 중국 무역협상 진전 기대감 작용
윤석열 SNS 통해 김문수 후보 공개 지지, "우리가 단결하면 승리할 수 있다"
NH농협금융 '제1차 ESG추진협의회' 열어, 녹색금융·전환금융 추진전략 논의
새마을금고중앙회 서울 우수 금고 시상식, 김인 "신뢰 받는 금고로 거듭나자"
LG유플러스, 소방청과 '재외국민 119응급의료상담서비스' 홍보 캠페인
NH농협카드 '쌀 구독서비스' 담은 '미미카드' 출시, 아침밥 50% 청구할인도
기아 스포티지 4월 영국서 가장 많이 팔린 차에 올라, 올해 두 번째
[리얼미터] 대선후보 3자 가상 대결, 이재명 52.1% 김문수 31.1% 이준석 6.3%
LG전자 '그라운드 220' 단장, 직접 요리하는 주방가전 체험공간 조성
SK텔레콤 유심 재설정 솔루션 12일부터 도입, "유심 실물 교체와 같은 효과"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