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호 기자 sangho@businesspost.co.kr2018-04-16 18:07:43
확대축소
공유하기
이차전지의 주요 원재료인 코발트의 공급 부족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최진영 이베스트주자증권 연구원은 16일 “코발트의 주요 공급국가인 콩고민주공화국의 정치적 요인으로 코발트 공급이 늘지 못하고 있다”며 “중국이 계속 코발트를 독식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점도 세계적으로 코발트 공급을 부족하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 이차전지의 주요 원재료인 코발트는 분쟁광물 지정 논의와 중국의 독식이 심해지는 등 요인으로 공급 부족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콩고민주공화국은 세계 코발트 생산량의 58%를 생산하는 나라지만 내전이 장기화되는 등 정치적 불안으로 코발트 생산량을 늘리지 못하고 있다. 3월에 광업법 개정을 통해 코발트에 매겨지는 세금을 10% 높이면서 세계적으로 코발트 가격을 올리기도 했다.
게다가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아동 노동 착취를 통해 코발트를 생산하고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코발트를 ‘분쟁광물(Conflict minerals)’로 지정해야 한다는 여론이 퍼지고 있다.
분쟁광물은 분쟁지역에서 반인도적 방법 등으로 생산되는 천연광물을 뜻한다. 분쟁광물로 지정되면 관련 물질의 사용과 국제거래가 제한된다. 수단, 르완다 등 중앙아프리카에서 나는 금, 주석, 탄탈륨, 텅스텐 등이 현재 분쟁광물로 지정됐다.
국제연합(UN)의 권고로 미국, 유럽 등에서 분쟁광물과 관련된 규제법령이 마련돼 있다.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생산되는 코발트가 분쟁광물로 지정되면 세계적으로 코발트 공급은 크게 부족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이 코발트 독식을 늘려가고 있다는 점도 코발트의 공급을 부족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꼽힌다.
중국은 최근 10년 사이에 정련 코발트 생산량 기준으로 세계 시장점유율을 24%포인트 높였다. 세계 정련 코발트 생산량 가운데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50%에 가깝다.
최 연구원은 “2017년부터 중국의 자본 통제가 강화됐다는 점을 고려하면 중국 기업들이 리튬, 코발트 등 광산을 매입하는 것은 중국 정부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라며 “최근 글로벌 광산기업인 글렌코어가 콩고민주공화국의 코발트 광산을 중국에 팔 수도 있다고 밝히는 등 중국의 코발트 독식 움직임은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 연구원은 코발트, 망간 등 가격이 오르면서 생산비용을 줄이기 위해 니켈을 이용하는 방법이 주목받을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