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7일(현지시각) 백악관에서 바이든 정부 아래 고용시장 통계 오류를 주장하는 내용의 자료를 들고 있다. <연합뉴스> |
[비즈니스포스트] 미국 경기침체 진입을 예고하는 신호가 고용시장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 제시됐다.
경제전문지 포천은 11일 신용평가사 무디스 분석을 인용해 “경기침체가 시작되는 시기는 보통 분명하게 파악하기 어렵다”며 “현재는 직전 구간으로 파악된다”고 보도했다.
미국 경제가 아직 경기침체 상황을 보이지 않고 있지만 현재 고용시장에서 나타나는 부정적 징후를 볼 때 현실화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는 의미다.
무디스는 미국 고용이 아직 감소세에 접어들지 않았지만 5월 이후 증가세가 거의 멈췄고 전체 산업의 절반 이상에서 감원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최근 고용시장 통계가 지속적으로 하향 조정되는 흐름이 나타나는 점도 경기침체를 예고하는 신호로 제시됐다.
무디스는 “과거 조사에서 약 400개 산업의 절반 이상에서 감원이 진행되면 경기침체 국면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며 “7월에 이미 53% 이상의 산업에서 인력 감축이 이뤄졌다”고 덧붙였다.
미국 고용시장에서 실업률 또는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급증하지 않았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실업률이 경기침체를 가늠하는 데 효과적 지표가 아니라는 반론도 제시됐다.
무디스는 “미국 경제에 부담을 주는 여러 정책이 해소되면 상황이 반전될 수 있겠지만 가능성은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포천은 월스트리트 증권사들 사이에서도 고용시장 둔화와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현재 고용시장 둔화가 인력 수요 부족이 아닌 공급 부족을 원인으로 두고 있다며 경기침체 진입 가능성은 낮다는 의견을 전했다.
반면 UBS는 노동 수요 자체가 감소하고 있다며 이와 상반된 관측을 제시했다.
증권사 JP모간도 최근 3개월에 걸쳐 민간 부문의 고용 증가세가 둔화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며 이는 미국 경제에 부정적 신호라고 지적했다.
JP모간은 “현재 수준의 인력 수요 감소는 경기침체를 경고하는 신호”라며 “성장 둔화와 고용 감소는 곧 구조조정의 전조 현상으로 작용하는 사례가 많다”고 덧붙였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