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및 신수출사업을 집중 육성하겠다”
![]() |
||
▲ 한덕수 무역협회장은 박근혜 정부의 '제2의 무역입국' 기조에 적극 공조의 뜻을 표하고 있다 <뉴시스> |
또 한 회장은 “중소중견기업의 수출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25일 기자간담회에서 "중소수출기업의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기울이겠다"고 말했던 발언과 같은 맥락이다. 한 회장은 서비스 수출과 중소기업 수출 지원을 공식석상에서 거듭 언급하고 있다.
이는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해 12월5일 제50회 무역의 날 기념행사에서 제시한 3대 실행과제와 일치한다. 3대 실행과제는 △서비스, 중계·가공무역 등 신수출산업 육성 △중소·중견기업 수출역량 제고 △세일즈외교와 자유무역기반 강화다. 박 대통령은 2020년 무역 5강, 무역 2조 달러라는 목표도 발표했다.
박 대통령은 수출확대 정책에 대한 의지가 강하다. 지난해 5월부터 매달 청와대에서 경제부처장관과 경제단체장들이 참석하는 무역투자진흥회의를 열고 있다. 이 회의를 통해 수출확대를 위한 정책발굴에 나선다. 이것은 박정희 전 대통령 때 있었던 수출진흥확대회의를 부활한 것이다. 또 무역의 날 역시 박정희 전 대통령이 만든 수출의 날이 그 기원이다.
이처럼 ‘제2의 무역입국’을 부르짖는 박근혜 대통령에 한덕수 회장도 적극 호응하고 있다. 한 회장은 앞서 말한 서비스 산업 육성과 중소기업 지원 외에 세 번째인 자유무역기반 강화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미 그는 노무현 정부 시절 경제부총리로서 한미FTA를 주도했다. 지난해에는 한중 FTA에 대해서 “높은 수준의 한중 FTA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 회장은 박 대통령이 25일 발표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 대해서도 “시의적절하다”며 “무역업계도 환영한다”는 뜻을 밝혔다. 무역협회는 경제혁신 계획에서 언급한 경력단절여성 문제의 경우 수출업체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알선을 추진하는 등 경제혁신 계획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태세를 갖췄다.
한 회장은 이명박 정권 말기에 주미대사에서 무역협회장으로 발탁됐다. 이명박 정권 사람을 잘 쓰지 않기로 알려진 박 대통령이지만 한 회장은 박 대통령과 가까운 거리에서 교감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월 창조경제추진단 출범식과 제44차 다보스포럼 등에 동행한 것은 물론 2월3일에는 무역업과 관련성이 적은 관광진흥확대회의에도 참석했다.
한 회장은 김대중 정권에서 경제수석비서관, 노무현 정권에서 국무총리, 이명박 정권에서 주미대사를 역임했다. 시장주의, 자유주의, 개방주의 경제철학을 가지고 있으며 한미FTA를 성사시킨 주역이다.
<저작권자(c) 비즈니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김디모데 기자의 다른기사보기하림 장녀 김주영 아버지 김홍국 돕다 허리 휜다, '더미식' 부진에 망가지는 경영 성과 |
김홍국 하림 경영권 지분 승계는 아들 김준영 '독식', 경영 참여한 세 딸 아무 일 없을까 |
하림 인수합병에는 항상 CFO 천세기 있다, 법무와 재무 바닥에서 밟아온 '전라도 촌놈' |
미래에셋 "하이브 멀리서 보면 희극, 장기적 사업 기대감" |
비트코인 1억6667만 원대 상승, '크립토 위크' 기대감에 시장 전반 활성화 |
코스피 종가 기준 3년 10개월 만 3200선 상승 마감, 코스닥은 800선 내줘 |
한국투자증권 상반기 증권사 실적 1위 달성, 김성환 하반기 IMA 도전 '청신호' |
[14일 오!정말] 민주당 김병기 "살아도 감옥에서 살고 죽어도 감옥에서 죽어야" |
한국도 뛰어든 '소버린 AI' 세금 낭비에 그치나, 미국 빅테크와 경쟁에 한계 |
삼성물산 롯데건설이 도시정비 경쟁 불붙일까, 개포우성4차 여의도대교에서 격돌 가능성 |
[시승기] G바겐 뛰어넘은 랜드로버 '디펜더 옥타', 역사상 가장 강력한 디펜더이자 가.. |
한화투자증권 인니 사업 본격화, '운용' 한두희서 '글로벌' 장병호로 세대교체 |
일론 머스크 "테슬라와 xAI 합병 찬성 안 한다", 자금 조달 확대해석 선 그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