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미세먼지 감축대책을 내놓으면서 발전사들의 표정이 엇갈린다. 정부는 당초 신규 화력발전소를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했지만 이미 착공한 발전소는 그대로 공사를 진행하기로 한발 물러섰다.
하지만 아직 인허가 단계인 발전소는 LNG발전소로 전환하겠다고 밝혀 이에 해당하는 발전사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27일 환경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미세먼지 감축 종합대책을 통해 석탄화력 발전 비중을 축소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공정률이 낮은 석탄화력발전소 9기 중 4기는 LNG 전환추진을 협의하고 5기는 최고수준의 환경관리를 실시하기로 했다.
당초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직후인 5월 미세먼지 대책을 발표하면서 건설 중인 석탄화력발전소 중 공정률 10% 미만인 발전소를 원점에서 재검토하도록 지시했다.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회사들은 건설이 취소될 경우 이미 투입한 비용을 고스란히 잃게 되는 상황이라 반발했다.
하지만 정부가 신서천화력발전소 1호기, 고성하이화력발전소 1,2호기, 강릉안인화력발전소 1,2호기 등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 곳은 그대로 두기로 결정하면서 사업자들은 가슴을 쓸어내렸다. 신서천은 중부발전, 고성하이는 SK가스, 강릉안인은 삼성물산이 건설 중이다.
반면 정부는 아직 인허가가 나지 않은 삼척포스파워 1,2호기와 당진에코파워 1,2호기의 경우 LNG발전으로 전환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아직 구체적인 협의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일방적인 통보를 한 격이라 사업자들은 불만을 보인다.
삼척포스파워의 경우 포스코에너지, 당진에코파워는 SK가스가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들은 LNG로 전환할 경우 사업성이 떨어서 수익을 낼 수 없다고 하소연한다.
발전소가 수요지에서 멀수록 전력공급의 효율이 떨어진다. 석탄발전의 경우 발전단가가 낮아 불리한 입지에도 수익성이 있지만 발전단가가 높은 LNG는 도심에서 떨어진 곳에서 발전소를 운영하면 손해를 보게 된다는 것이다.
정부는 강제가 아니라 자율전환을 원칙으로 한다는 입장을 나타낸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13일 대정부질문에서 “정부가 석탄화력의 LNG전환을 강제하고 있지 않다”며 “민간에서 잘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사실상 정부가 인허가권을 쥐고 LNG전환을 강제하고 있다”며 “LNG전환은 사업을 포기하라는 것이나 다름없는 소리”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