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건설업종이 원가율 개선과 관련한 불확실성 확대 상황에 놓였다는 분석이 나왔다.
박영도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27일 “원가율 정상화는 구조적으로 당연하지만 잠재부실 확대도 현재진행형이고 손실 가능 여부 불확실성은 변동성을 키우는 요인”이라며 “업황 개선이 미뤄질 수 있는 환경에서 시장평가 하락은 건설업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고 내다봤다.
| ▲ 다올투자증권이 27일 건설업종 의견을 '중립'으로 낮췄다. 사진은 서울 전경. <연합뉴스> |
건설업종 대상 투자의견은 ‘중립(Neutral)’로 낮아졌다.
지난해 이후로 건설업 현장의 원가율이 개선되면서 업황 반등을 향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었다. 2023년 이전에는 물가 급등에 현장 원가율도 악화됐기 때문이다.
다만 회계상으로 인식한 매출과 현금 유입 사이 차이가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는 것이다.
박 연구원은 “건설업은 진행률 회계로 매출·이익의 발생과 현금 유입에 괴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며 “2024년 이후 건설업 회복 기대가 커졌지만 현재 인식 매출·이익이 최종적 이익과 반드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 다시 발목을 잡는 형국이다”고 바라봤다.
그러며서 “미회수 채권의 손상 가능성은 여전히 끝나지 않은 현실이다”고 덧붙였다.
정부의 부동산 정책과 해외 프로젝트 관련 불확실성도 건설업종에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됐다.
업황 개선세가 뚜렷하면 건설업종을 향한 시장전망도 밝아질 수 있다. 실제로 부동산 금융 부진이 4년 가량 이어져 흐름이 뒤바뀔 수 있다는 기대감도 존재했다.
다만 정부 부동산 정책이 대출을 조여 부동산 경기 불확실성이 커졌고 해외 프로젝트 부실을 둔 불안감도 남아 있다는 것이다.
박 연구원은 “최근 부동산 정책이 대출을 규제하는 방향으로 나타나면서 공급물량 증가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졌다”며 “또한 해외 프로젝트 부실이 이어지면서 손익 개선을 둔 의구심도 발생한 상황이다”고 바라봤다. 김환 기자